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환경정책, 새로운 장을 열다 ④] CCS, 경제성 확보가 연착륙의 열쇠
김진성 기자|weekendk@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환경정책, 새로운 장을 열다 ④] CCS, 경제성 확보가 연착륙의 열쇠

한국석유공사 이승철 처장 “정부 주도의 지원제와 통합실증사업 요구돼”

기사입력 2025-10-07 09:23:3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환경정책, 새로운 장을 열다 ④] CCS, 경제성 확보가 연착륙의 열쇠
한국석유공사 이승철 처장


[산업일보]
Carbon Capture and Storage (탄소 포집 및 저장, 이하 CCS)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존 설비 활용, 네거티브 배출 전력과의 결합 가능 등의 이유로 2035 NDC를 앞둔 한국에게는 큰 가능성을 보유한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초기 비용부담이 크다는 점과 정책 미비, 낮은 경제성 등의 이유로 인해 CCS는 아직까지 한국에서 완벽히 뿌리내리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한국석유공사 이승철 처장은 동해가스전을 예로 들면서 CCS가 탄소중립과제에서 주용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과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최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의 발제자로 참석한 이 처장은 CCS에 포집한 이산솨탄소를 연료나 화학소재로 사용하는 CCUS의 장점을 설명하면서 해당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처장은 “1970년대부터 2천년대 까지는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이 석유생산량 증진을 위한 유가스회수증진 활용으로 이용돼 저장이 아닌 활용 개념이었다”며 “2천년대 이후부터는 대기 중 온실가스 배출 제한에 따른 수반가스 처리 및 CCS프로젝트로 발전해 왔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처장은 CCS의 실증사업이 진행된 동해가스전에 대해 상당 시간을 할애하면서 CCS 사업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이 처장의 설명에 따르면, 동해가스전 사업은 탐사부터 개발, 생산에 이르는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했으며, 누적 생산량은 4천454만 boe(Barrel of Oil Equivalent, 석유환산배럴)을 기록해 순회수액은 1조4천억 원에 달했다.

이 처장은 “CCS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대규모 저장소 확보와 집적화 단지 조성이 필요하다”고 언급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 산업이 밀집해 있는 서해권에 집적화단지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상용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이 처장은 “CCUS 통합법을 시행함으로 법적근거가 마련됐다”고 전제한 뒤 “이를 기반으로 경제적인 지원제도 구축과 통합실증사업 추진 등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안녕하세요~산업1부 김진성 기자입니다. 스마트공장을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혁신 3.0을 관심깊게 살펴보고 있으며, 그 외 각종 기계분야와 전시회 산업 등에도 한 번씩 곁눈질하고 있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