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지난 24일 화성시가 신청한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안)’을 최종 승인했다고 25일 밝혔다. 화성 도시기본계획은 화성시의 미래와 장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최상위 계획이다.
2040년 목표 계획인구는 통계청 인구추계치와 각종 개발사업 유입 인구를 고려해 현재(약 104만 명)보다 50만 명 증가한 154만 명으로 설정됐다. 화성시 공간구조는 거점 변화와 균형발전을 고려해 2도심, 4부도심, 9지역중심으로 계획됐다.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화성시 전체 행정구역(1,126.32㎢) 중 장래 도시발전에 대비한 개발 가용지 46.85㎢는 시가화예정용지로 계획됐다. 기존 개발지 102.19㎢는 시가화용지로, 나머지 977.28㎢는 보전용지로 확정됐다.
생활권은 동탄, 동부, 중부, 서부 총 4개 권역으로 나뉘어 발전전략이 제시됐다. 동탄생활권은 신산업 생태계 구축과 친환경 도시 기반 마련에, 동부생활권은 광역 환승 거점 조성과 원도심 정비 및 관광산업 육성에 주력한다. 중부생활권은 산·학·연 연계 네트워크 조성과 녹색 관광 벨트 구축을, 서부생활권은 자동차·바이오 등 신성장 산업 클러스터 구축과 해양 관광 산업 육성을 목표로 한다.
교통계획은 주요 생활권을 연계하는 순환도로망 체계 구축, 광역급행철도(GTX-A, C)를 포함한 철도망 계획 등 경기 서부 SOC 대개발과 연계된 기반시설 계획을 반영했다.
김희성 경기도 도시정책과장은 “2040년 화성 도시기본계획 승인에 따라 화성시가 공공주택지구(봉담3·진안), 송산그린시티, 화성 국제테마파크 등 개발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 성장함과 더불어 화성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