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REPORT]비용 절감과 공정 효율화를 위한 필드 네트워크
나재선 기자|inspi0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REPORT]비용 절감과 공정 효율화를 위한 필드 네트워크

‘CC-Link Family’ 세미나 개최서 최신 기술 선보여

기사입력 2013-09-23 00:02: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한국 CC-Link 협회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필드 네트워크인 CC-Link Family에 대한 기술 소개를 위한 세미나를 지난 12일 개최했다. 이날 CC-Link 협회에서는 산업 현장의 높아지는 니즈에 맞춰 변화 발전 중인 다양한 기술 버전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CC-Link 협회 측은 관련 시장이 점차 큰 폭의 상승세가 예상됨에 따라 산업 현장의 니즈를 반영한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한국 CC-Link 협회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필드 네트워크인 CC-Link 기술 소개를 위한 세미나를 지난 12일 성황리에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필드 네트워크인 CC-Link를 비롯해 최근 보안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상함에 따라 보안에 포커스를 둔 CC-Link Safety 등 CC-Link 제품군에 속한 다양한 네트워크에 대해 발표했다.

[REPORT]비용 절감과 공정 효율화를 위한 필드 네트워크
▲ 세미나전경

한국 CC-Link 협회 정덕영 사무국장은 “CC-Link 협회에는 올 1월 말 기준으로 일본 599개, 중국 236개, 한국 285개, 대만 234개의 기업이 협회의 파트너사로 등록돼 있다”라며 “엄격한 적합성 인증 시험을 통과한 1,283개 이상의 풍부한 제품군 보유를 통해 CC-Link는 자동차 생산라인, 종이·펄프 공업, 식음료 업계, 수처리 시설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전자업계 품질 및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IMS리서치에 따르면 산업용 네트워크 시장은 아시아 시장의 경우 2015년에는 2011년 대비 약 67%, 아시아 이외 지역의 경우 2015년에는 2011년 대비 44%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현재 산업용 네트워크의 주요 기술 테마로는 통신로의 무선 대응(CC-Link/Wireless), 보안 강화(CC-Link/Security), FPGA용 IP코어, 프로토콜 스택 제공 등 파트너사의 개발 방법 라인업 강화로 요약될 수 있다.

필드 네트워크는 ▲콘트롤러와 입출력 기기 간 배선 절감 및 이에 따른 비용 절감 ▲저렴한 데이터 통신 방식 ▲간편한 통신 케이블 연결 ▲신뢰성 있는 데이터 통신 ▲고속 통신에 의한 콘트롤러와 입출력 간 시간 지연 최소화 등을 위해 필수적이다.

제어 포인트가 증가할수록 배선이 복잡해지며 이에 따라 노이즈의 위험성도 증가하는데 필드 네트워크를 산업 현장에 도입하면 제어 포인트가 증가해도 배선이 대폭 감소된다. 예를 들어 1가닥의 배선만으로도 약 2,000개의 기기가 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제어가 가능해 시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일본·아시아 최초 세계 표준 오픈 필드 네트워크 CC-Link
일본·아시아 최초 세계 표준, 시리얼베이스 오픈 필드 네트워크인 CC-Link는 공정 자동화를 위한 메시지 전송 기능, 최대 10Mbps의 통신 속도 제공, 최대 13.2km의 장거리 통신을 지원하며 콘트롤러 하위에 위치한 오픈 필드 네트워크다. 대용량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CC-Link는 입출력 2,048Bit, 워드 512Word, 10Mbps의 통신 속도를 지원하는데 버전 2.0은 버전 1.0 대비 데이터 용량이 약 8배 증가됐다.

CC-Link를 현장에 도입하면 고속의 대용량 데이터 처리, 현장 정보의 신속한 상위 연결이 가능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 배선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진단 기능을 이용한 유지보수 지원 및 동작 중 이상 발생 시 고장난 부분의 일부 교체가 가능해 간편한 유지보수 기능을 제공한다.

현재 대표적인 도입 사례로는 플로우 컨트롤러, 온도계, 바코드 등 분산된 인텔리전트 기기를 CC-Link로 연결함으로써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서의 배선 절감을 들 수 있다. 이 밖에도 CC-Link는 자동차 제조 공정, 자동 창고/반송 라인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보안 강화된 CC-Link Safety
CC-Link Safety는 최근 보안 문제가 부상하면서 안전한 배선 절감 네트워크로 개발됐는데 제어기기 측에서 CC-Link Safety에 연결된 기기들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안전 시스템은 접근 감지, 경고 기기, 기계 장치의 위치 검출, 존재 감지, 비상 정지, 안전회로 등으로 구성되며 최근 인간과 기계, 로봇이 함께 일하는 작업장에서 위험 구역에 사람이 접근하면 기계가 작동을 멈추는 동작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사진삽입 : CC-Link Safety

CC-Link IE
CC-Link IE는 생산 현장뿐만 아니라 정보계를 포함한 생산 시스템 전체의 최적화(수집 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이더넷 베이스 통합 오픈 네트워크로 최근 급변하고 있는 산업계의 니즈를 반영해 탄생됐다.

최근 산업계는 제품 비용 절감을 위해 생산 설비의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개발 기간의 단축, 시동 기간의 단축과 유지보수와 관련된 모든 비용 절감이 요구되고 있다. 또 기계 라인도 고도화, 대형화, 복잡화되고 있어 보다 빠르고 정확한 생산이 요구됨과 동시에 대형화에 따른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정간, 장치 내 어디서나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키는 방안에 대한 니즈가 커지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부분이 더욱 부상하고 있다.

CC-Link IE는 모든 콘트롤러가 서로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N:N형 초고속 리얼 타임 통신을 채용했다. 데이터 전송 제어에는 토큰 방식이 적용돼 각 콘트롤러는 서로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어 정보 공유가 가능하며 토큰을 가지면 쓰기 권한이 부여된다. 저장된 데이터는 각 콘트롤러에 복사됨으로써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CC-Link 제품군에 대한 다양한 기술 소개가 이어진 후 마지막 순서로는 한국미쓰비시전기오토메이션, AC&T, 한국3M, 한국훼스토 등 대표적인 CC-Link 협회 회원사들의 여러 솔루션들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