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엔진 구성품 시험설비 구축, 한국형발사체 개발 가속화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엔진 구성품 시험설비 구축, 한국형발사체 개발 가속화

연소기·터보펌프 등 주요 엔진 구성품 시험 본격 착수

기사입력 2014-01-28 00:02:5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엔진 구성품 시험설비 구축, 한국형발사체 개발 가속화


[산업일보]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 장관 최문기)는 한국형발사체 액체엔진의 핵심 구성품인 연소기 및 터보펌프의 시험설비가 오는 4월 경 나로우주센터에 구축 완료된다고 밝혔다.

한국형발사체 시험설비는 총 10종이 구축되며, ‘엔진 구성품 시험설비 ’ 5종, ‘엔진시스템 시험설비’ 4종, ‘단종합 시험설비’ 1종이 나로우주센터 및 항우연에 2015년까지 단계적으로 완료될 예정이다.

올해는 이번에 완공되는 2종을 포함한 시험설비 5종이 구축완료돼, 이미 구축된 1종을 포함하면 총 6종이 구축 완료된다.

이에 따라, 국내 주도로 개발되고 있는 한국형발사체의 핵심인 엔진 구성품에 대한 성능 시험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돼, 발사체 개발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이번 시험설비가 완공되면 7톤 및 75톤급 액체엔진의 연소기, 터보펌프 등에 대한 성능 시험에 곧바로 착수할 예정이며, 액체엔진 구성품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연소기 약 200회, 터보펌프 약 150회의 시험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성능을 검증하게 된다.

그동안 국내에는 75톤급 액체로켓엔진 시험이 가능한 대형시험시설이 없어 설계‧해석 업무와 저추력 시험만을 진행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발사체 개발예산의 23%인 약 4,400억원을 시험설비 건설에 배정해, 엔진개발에 필수적인 추진기관 시험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나로우주센터에 구축 중인 추진기관 시험설비는 한국형발사체 개발 이후, 발사체 인증 및 엔진성능 개량 등에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전망이다.

우선 발사체 개발완료 후, 후속 발사를 위한 발사체 양산단계에서 엔진 구성품, 엔진 전체 시스템 등에 대한 요구조건 만족을 점검하는 인증시험에 시험설비를 활용하며, 현 시험설비가 필요추력의 두 배 성능까지 시험이 가능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향후 75톤급 액체엔진의 성능개량 및 신형 엔진 개발에도 지속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미래부와 항우연은 국가 자산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추진기관 시험설비의 적기 구축과 효율적 활용을 위해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아래 엔진 구성품 시험을 시작으로,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역량을 더욱 집중해 2017년 시험발사와 2020년 3단형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