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심층기획 국내 포장산업 대규모 패키징 기술개발 필요하다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심층기획 국내 포장산업 대규모 패키징 기술개발 필요하다

99% 이상이 중소기업, 기술개발 인력도 턱없이 부족해

기사입력 2016-03-23 07:20:55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국내 포장산업 대규모 패키징 기술개발 필요하다


[산업일보]
제조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포장산업이 지속적인 성장 추세에서 다소 주춤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기술센터에 따르면, 국내 포장시장의 매출액 규모는 2014년 42.2조원을 기록하며 전년도 대비 약 1.8% 증가했지만, 지난해는 경기 불황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약화됐을 것으로 추측된다.

국내 포장산업의 수출규모는 2013년 전체 매출액의 약 12.8%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이 37.4%로 수출국 1위에 올랐고, 동남아가 33.7%, 미국이 23.7%로 뒤를 이었다.

최근 최대 수출국인 중국이 제조업을 중심으로 급격히 성장 중이고, 인도를 비롯한 동남아국가의 소비 증대로 인해 국내 포장산업의 수출규모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패키징기술센터는 2020년 국내 포장산업의 시장 규모가 약 56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포장산업 종사자수는 16.8만 명으로 제조업 종사자 대비 4.4%의 노동집약적 산업이다. 그런데 2014년 12월 기준, 전체 기업의 99% 이상이 중소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기술개발 인력이 없는 기업 비중도 84.4%에 육박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2005년 조사 기준, 세계시장의 절반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의 경우, 패키징 전문 대기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첨단 패키징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선진국의 포장산업은 단순 제조업에서 물류‧유통서비스를 포괄하는 종합컨설팅으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다. 또 포장 클러스터 조성 등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스웨덴 TPA(The Packing Arena)는 36시간 내에 맞춤형 패키징 솔루션을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했으며, 중국 APC(Asia Packaging Center)는 항주에 150억불을 투자, 세계 최대 패키징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국내 포장산업 역시 세계 포장산업 추세에 발맞춰 정부차원의 패키징 기술개발 투자와 더불어 각 기업에 기술개발 인력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사)한국포장기계협회, 월간포장, 경연전람이 공동 주최하는 국제포장기자재전 'Korea Pack 2016'이 ‘스마트 패키지 시대를 열다’라는 주제로 오는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킨텍스에서 개최된다. 지난 회 대비 150% 확대된 80,000m2규모의 전시면적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는 25개국에서 1천300개사 참가, 해외바이어 3천명이 참관 예정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