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평창올림픽서 공개 앞둔 5G 서비스…글로벌 시장 선도 방안 요구
김인환 기자|kih2711@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평창올림픽서 공개 앞둔 5G 서비스…글로벌 시장 선도 방안 요구

네트워크 장비·단말·기지국 등 관련 산업 파급효과 극대화 도모해야

기사입력 2017-06-23 12:30:4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평창올림픽서 공개 앞둔 5G 서비스…글로벌 시장 선도 방안 요구


[산업일보]
모든 것이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사회로 진입하면서 ‘연결’에 대한 이슈는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오는 2018년 2월 개최되는 평창올림픽 기간동안 시범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인 5G서비스는 4G 롱텀에볼루션(LTE)에 비해 데이터 용량은 약 1천 배 많고 속도는 200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차세대 이동통신으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다.

존 이동통신은 주로 전송속도의 향상을 바탕으로 음성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이동통신 콘텐츠의 확장에 중점을 둔 반면, 5G 이동통신은 전송속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사물인터넷(IoT) 등 다수 기기접속 및 초저지연 연동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인프라, 5G’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유럽 등의 해외 주요국은 5G를 차세대 경제성장 동력으로 삼고 광대역 구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기기․장비 등 산업을 개발․발전시켜 경제성장, 일자리 창출,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도모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는 24GHz 이상 고대역 주파수의 발굴 및 이용을 위한 FCC Spectrum Frontiers 명령 및 추가법령제안(R&O, FNPRM)을 발표한 바 있으며, 공식적으로 세계 최초의 고대역 주파수 이용방안을 확정해 차세대 이동통신 개발 경쟁에서 미국의 선도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유럽 내 5G 상용화를 위한 5G for Europe 액션플랜 보고서를 발간하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2018년 평창올림픽 시범서비스 및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위한 계획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2014년 1월부터 ‘미래 이동통신 산업발전전략’을 수립해 5G 조기 상용화 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 왔으며, 지난 12월에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 등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해 타 산업과 융합 확산을 위한 ‘5G 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을 구성했다.

또한, KT는 평창올림픽 시범서비스 제공을 위해 2015년 9월 ‘평창 5G-SIG’(5G 규격 협의체)를 출범했으며, 지난 11월에는 KT 5G 공통규격을 공개하고 필드 테스트를 마쳤다고 밝혔다. KT는 오는 11월까지 평창올림픽 경기장을 중심으로 시범망 구축을 완료하고 2018년 2월 평창올림픽 기간동안 5G 시범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득원 연구위원은 “현재는 5G 네트워크 조기구축과 기술선점을 위한 경쟁이 전개되고 있으나, 향후 5G 상용화 이후에는 4차 산업혁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위해 기술개발 및 주파수 선도뿐만 아니라, 5G 네트워크 구축의 효율성 제고 및 운용의 안정성 확보, 5G 기반 생태계 조성 및 활성화 등을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방향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현장의 생생함을 그대로 전달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