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산림용·재난재해용 분야가 융합된 드론으로 우리 삶의 터전을 보호하고 자율주행 도로체계를 갖춰 지능화된 스마트 시티가 우리 국민들에게 찾아온다.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올해를 ‘지능형 전자정부’ 도약의 원년으로 삼고, ‘2018년 주목해야 할 전자정부 10대 유망기술’을 23일 발표했다.
민원행정서비스 분야에서는 국민과 소통이 가능한 대화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을 비롯해 주요 정책결정 시 데이터를 분석하는 온디맨드 빅데이터, 공공 멀티 드론 등을 활용해 스마트한 정부로 거듭난다.
체감형 서비스 분야에서는 사물인터넷(IoT), 혼합현실(MR), 비접촉 생체인식 기술 등을 통해 소외계층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전 국민에게는 편리한 본인인증 수단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초고속 5G 이동통신, 블록체인 네트워크, 클라우드 활용 등이 점차 확대되면서 안전한 전자정부 생태계 조성과 미래형 신산업 발굴·육성에 기여한다.
정윤기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전자정부가 지능정보기술을 적극 활용하면서 공공시장을 창출해 4차 산업혁명을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에 발표한 기술이 올해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