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스스로 필요한 R&D 과제 발굴·기획·추진한다
과기정통부, ‘과학기술 기반 지역수요 맞춤형 R&D 지원 사업’ 신규 추진
17개 시・도의 자율적 R&D 수행을 지원해 지역의 주도적 R&D 경험 축적 및 혁신역량을 제고하는 신규 사업이 진행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중앙정부 주도의 R&D과제 설계 및 추진체계에서 벗어나 지역 스스로 R&D 과제를 정의・기획・추진할 수 있도록 사업비를 지원하는 새로운 유형의 사업인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맞춤형 R&D 지원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지자체는 ▲ 지역의 현안 해결을 위한 R&D 과제를 선정하고 ▲ 지역 R&D 기획기관과 제안요청서(RFP)를 설계한 후 ▲ 지역 내 혁신 기관을 선정해 과제를 추진해 ▲ 과제 종료 후 평가까지 일련의 R&D 과정을 직접 주도적으로 이행하게 된다.
사업의 지원 대상은 각 지역의 문제 해결을 위한 R&D 과제로서, 17개 시・도 지자체가 직접 제안하게 되며, 2018년은 5개 내외 지역을 선정해 과제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각 지역 내 독립적 R&D 역량과 경험을 축적하는 한편, ▲ 규정・조직 등 지역 단위 R&D 추진체계의 정비 ▲ 지역 R&D 전문 기관 육성 ▲ 대학・출연(연) 분원 등 지역 소재 혁신 기관의 지역 R&D 참여 확대 등이 수반돼, 전반적인 지역의 R&D 혁신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할 방침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는 여타 R&D 사업과는 달리 R&D 과제 내용뿐만 아니라,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과제 추진체계 및 지역 R&D 환경 개선 정도도 함께 검토・관리해 나갈 계획이며, 실제로 사업 대상 선정 시, 과제 평가(75%)와 사업추진체계 평가(25%)를 합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유국희 연구성과정책관은 “현 정부 국정 목표인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 실현을 위해서는 각 지역이 고유 특색을 살려 자율적 혁신 생태계로서 발전할 수 있도록 ‘R&D에 기반한 자기주도적 성장역량 지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며, “새로 추진되는 ‘과학기술기반 지역수요 맞춤형 R&D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과학기술기반 지역 혁신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