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원자재 가격이 천정부지로 솟구치고 있는 가운데, 대기업을 통해 원자재를 공급받는 중소기업의 60% 이상이 원자재 가격을 대기업에게 통보받고 있다는 설문 결과가 발표됐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가 중소제조업 5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원자재 가격변동 및 수급불안정 관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체 61.8%가 원자재 생산 대기업의 가격인상을 일방적으로 통보 받는다 답했으며, ‘구두협의(21.0%)’ 및 ‘계약서 작성(16.6%)’가 뒤를 이었다.
또한, 원자재 가격 변동주기 또한 ‘수시(76.2%)’가 가장 많고, 1년 단위는 16.8%로 나타나 원자재 수급에서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결여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원자재 가격변동에 따른 위탁기업과의 납품단가 협상주기는 ‘1년(40.4%)’, ‘수시(38.4%)’ 순으로 원자재 가격 변동주기(수시, 76.2%)와 시차가 존재했다.
원자재 가격상승분에 따른 납품단가 반영여부의 경우, ‘일부만 반영(43.2%)’ 및 ‘전혀 못함(43.0%)’이 전체의 86%로 가격 변동 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 수 있으나,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없다(71.4%)’는 의견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납품대금 현실화를 위한 노력으로 ‘원가연동제(37.4%)’가 가장 필요하며 그 다음으로 납품단가조정협의제도 활성화(31.4%), 대기업의 상생의지(22.8%)순으로 응답했다.
이번 설문 결과에 대해 중기중앙회 정욱조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제조업체들은 대기업으로부터 원자재를 조달해 중간재를 생산해 이를 대기업에 납품하는 구조이나 최근 원자재 가격 인상과 납품단가 미반영 사이에 샌드위치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정 본부장은 “예고 없는 수시인상과 일방적 가격 통보 등 원자재 생산 대기업에 대한 협상력이 낮아 원자재 가격 인상분을 납품단가에 반영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기업경영의 청사진을 그리기 어렵다”며, “원자재 생산 대기업과의 협상력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도 중요하지만, 대기업의 자발적 상생의지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