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18일 기아 화성공장을 방문해 현대차·기아의 국내 전기차 투자계획을 점검했다.
장영진 차관은 이날 현대차·기아의 전기차 관련 중장기 국내 투자계획을 청취하고 자동차 산업의 미래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취임 후 첫 행보다.
자동차 공장 방문은 코로나19 팬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대내외 여건이 어려운 시기에, 민간의 대규모 투자에 대한 정부 지원 의지를 표명하고, 미래 핵심 먹거리 산업인 자동차·모빌리티 분야의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기 위해서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기아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분야에 21조원을 투자해 국내 전기차 생산기반을 확충할 계획임을 발표했다. 현대차·기아는 2030년 기준 국내에서 전기차를 연간 144만 대를 생산할 예정이다. 이는 국내외 전기차 총 생산량(323만 대) 대비 약 45% 수준이다.
특히, 기아는 제조업의 서비스화 트렌드에 대응해 전기차 기반의 PBV(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제작하는 미래형 차량) 사업 진출을 본격화하고자 국내 최초 PBV(Purpose Built Vehicle, 다목적 모빌리티)전기차 전용공장을 신설한다는 계획이다.
PBV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은 해외에서도 유력한 강자가 없는 시장 형성 초기 단계로 선점이 중요한 분야다.
장 차관은 모두 발언을 통해 “불확실성이 큰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현대차·기아가 국내에 대규모 투자를 결정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한 후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소위 3高(고) 시대에는 기업의 설비 투자가 물가상승을 최소화하면서도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최적의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다양한 투자지원과 규제혁신을 통해 민간 투자를 뒷받침하는 ‘성장지향형 산업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라며 “자동차 산업이 인포테인먼트, 로보택시와 같은 서비스와 융합해 ‘모빌리티 혁명’이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기업의 혁신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해줄 것“을 당부했다.
장 차관은 이어진 간담회에서 3가지의 큰 산업정책 방향을 통해 민간 주도의 모빌리티 혁명을 지원 내용을 밝혔다.
우선, ▲민간의 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투자 인센티브 창의적 설계 ▲기업이 느끼는 규제와 애로도 적극 해소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혁신과 경쟁력 강화가 중요하므로, 부품기업들도 함께 미래를 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 ▲서비스 산업이 우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자동차 제조업이 서비스와 결합된 모빌리티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