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초거대 인공지능(AI)을 새로운 사업 기회로 본 IT 기업들이 관련 서비스 개발에 한창이다. 카카오는 한국어 특화 AI 모델인 코GPT(KoGPT)와 연계한 특정 분야 서비스를 올해 안에 공개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한국어 GPT-3에 기반한 B2C 서비스 에이닷(A.)을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이사는 10일 ‘2022년 4분기 및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같은 선상에서 경쟁하기보다는 카카오브레인이 갖고 있는 코GPT를 활용해 우리가 잘 할 수 있는 날카로운 버티컬 AI 서비스에 집중하고자 한다”며 “연내 AI 기반 버티컬 서비스를 빠르게 선보이면서 비용 경쟁력 있게 카카오의 AI 역량을 높여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초거대 AI 모델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차별화할 수 있는 게 아니라, 모델의 크기와 품질에 좌우되고 풍부한 자본과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싸움이라는 판단에서다.
홍 대표가 강조한 코GPT의 차별점은 비용효율성이다. 경쟁 AI 모델 대비 작은 규모의 파라미터를 활용하지만, 성과 측면에서는 뒤지지 않는 결과를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챗봇과 AI가 결합하는 경우 그야말로 챗GPT 같은 형태를 띠게 되는데 비용합리적으로 개발해야 하기에 정확하게 접근해야 한다”면서 “조르디라고 비서 역할을 지향하면서 만들고 있는 서비스가 있는데 조르디와의 챗방에서 AI가 개인화된 비서 역할을 해줄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지난해 한국어 대화가 가능한 에이닷을 선보인 SK텔레콤은 이달 중 관련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오래된 정보를 대화에 활용하는 장기기억 기술과 텍스트, 사진, 음성 등 복합적인 정보를 이해할 수 있는 멀티모달(Multi-modal) 기술을 장착하는 방식이라는 설명이다.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추론하고 의사소통까지 가능한 AI 기술인 멀티모달과 에이닷을 연계해 이용자의 요구사항, 업무 등을 처리하는 게 예시다.
최근 식을 기미가 보이지 않는 인기를 구가하는 챗GPT 등을 접목한 서비스도 나올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챗GPT와 연계하면 방대한 정보를 활용해 지식 대화를 강화할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