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강산업의 넷제로 달성, CCUS 기술 개발 지원 필요
조해진 기자|jhj@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철강산업의 넷제로 달성, CCUS 기술 개발 지원 필요

CO2 감축 목표 달성 가능한 현실적 대안이지만 상용화 단계 멀어

기사입력 2023-05-25 07:50: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는 철강 산업의 이산화탄소(CO2)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그러나 아직 상용화 단계까지 나아가기에는 갈 길이 멀어 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24일 ‘철강 CCUS의 미래,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보고서를 통해 세계 철강 생산의 70%가 BF/BOF(고로/전로) 공정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CO2를 감축하기 위해서는 CCUS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했다.

철강산업의 넷제로 달성, CCUS 기술 개발 지원 필요
사진=123RF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 철강산업의 넷제로(Net-zero)가 달성되려면 조강 생산의 53%가 CCUS 설비를 거쳐야 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고서는 CCUS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철강 산업에서 CCUS 상용화 프로젝트가 부진한 이유는 ▲배가스에 25% 미만으로 함유된 CO2를 대량 포집하는 기술의 현실적 제약 ▲CO2 포집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 및 설비 투자 비용 부담 ▲CO2 운송 비용과 저장 공간 관련 인프라 부족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철강 CCUS의 미래를 예단하기는 어렵다고 한 보고서는 ‘CCUS 없는 넷제로 달성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며 ‘지속적인 CCUS 기술 개발과 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CCUS 상용화를 촉진 및 확산하기 위한 방안으로 ▲미국과 같은 세액공제 및 보조금 정책 ▲클러스터 형태로 집적화된 CCUS 허브 등 운송 및 저장 관련 인프라 투자 ▲탄소 포집 효율과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는 업계의 기술 개발 노력 병행 등을 제안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전시회와 기업의 발전 양상을 꼼꼼히 살피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