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위크 2023’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구글(Google) 공동으로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그랜드볼룸에서 13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 이종호 장관은 개회사에서 “챗GPT로 대변되는 생성형 AI가 전 세계적인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인간의 언어능력, 창작능력 등을 갖춘 AI의 기술적 발전도 놀랍지만 누구나 쉽게 PC, 스마트폰을 통해서 AI를 활용하는 일상화가 시작됐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라며, 한국 기업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인공지능 위크를 계기로 한국 기업과 구글이 함께 윈-윈할 수 있는 협업네트워크가 형성되고 과기정통부와 구글의 협력을 통해 마련된 머신러닝 부트캠프 프로그램, 스타트업 스쿨 등을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신규 기획·추진해 한국의 AI 전문인재를 양성하는데 있어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박성중 간사는 한국속담에 혼자가면 빨리 지치고 함께 가야 멀리, 오래 갈 수 있다는 말이 있다며, 구글과의 협력을 통한 시너지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아울러, 국회에서도 법령과 예산 등 총 역량을 동원해 AI가 한국의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은 인공지능의 현재 발전도 놀랍지만 앞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를 통해 여러 가지 기회를 제공할 인공지능은 편향성과 다양한 과제도 안겨주고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부작용을 최소하고 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기조연설을 위해 단상에 오른 구글코리아 김경훈 사장은 '한국의 AI혁신을 위한 구글의 노력'이라는 제목으로 “한국 기업이 AI 기술을 통해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세계를 선도하는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돕는 AI 산업의 파트너가 되겠다.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 구글 플레이, 구글 에즈, 구글 클라우드와 같은 여러 솔루션들을 통해서 AI 시대에도 한국 기업들에게 힘이 되도록 하겠다”고 언급했다.
장병탁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원장겸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대한민국 AI 기술 현황’을 발제로 인공지능이 인간 지능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아직 가야할 길이 멀다고 했다.
그림을 그려주고 음악을 생성하고 기계가 스스로 학습을 할 수 있다. 그런데 그 다음 단계는 어떻게 해야 할지 AI는 스스로 결정하지 못한다. 무엇이 더 중요하고 적합한지 등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은 그러한 수준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에 있다고 전했다.
오늘부터 사흘간 진행하는 이번 행사는 인공지능(AI)·머신러닝·클라우드 관련 전문가 발표, 기술 교류 등과 함께 행사 마지막 날인 15일에는 AI 분야 취업 희망 대학생을 대상으로 국내 20개 사의 취업설명회를 개최한다. 또한 구글 대학생 개발자를 대상으로 국제 경진대회 우수작 쇼케이스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