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통합데이터 분석센터와 국과수가 올해 2월 개발한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이 보이스피싱 범죄 수사와 검거에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보이스피싱 음성분석 모델(이하 음성분석모델)’을 통해 3개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총책 및 자금관리책 등 총 51명을 검거했다고 31일 밝혔다.
적발된 3개의 조직은 개인정보, 대포폰 등을 활용, ‘성 관련 동영상을 유포한다’는 식의 내용으로 피해자들을 협박해 6억 원을 편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의자 검사 및 조사 과정에서 음성분석 모델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 5월 해외에서 걸려온 전화를 국내 번호로 바꿔주는 중계기 현장 단속 과정에서 5명을 최초 검거했다.
경찰은 음성분석 모델을 활용해 피의자 음성과 피해자들로부터 확보한 범죄자 음성의 동일 여부를 1차 판독했다.
판독 결과, 동일인 여부를 확인한 수사관은 피의자들의 혐의를 입증했으며, 피의자의 추가 여죄를 확인하고 연루자를 파악하기 위해 국과수에 심층 분석을 의뢰한 상황이다.
행안부와 경찰은 음성분석 모델 사용이 이번 보이스피싱 범죄조직의 수사와 검거 속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
행안부에 따르면, 향후 분석 모델 활용 관련 정기교육을 시행하고, 다양한 음성 관련 사건 수사에 분석 모델이 사용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