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세계 기후변화로 각국이 탄소중립 정책을 시행하면서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중요 현안으로 떠올랐다. 유럽연합(EU)이 그린딜 정책 패키지를 통해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촉진하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한국도 ‘전주기 탈플라스틱 대책’으로 순환경제 구축에 나섰다. 2030년까지 페트(PET) 1만 톤 이상의 원료 생산자는 재생원료 사용률을 30%까지 맞춰야 한다. 하지만 국내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물리적 재활용은 물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화학적 재활용도 원료 부족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국내 플라스틱 순환경제의 현주소를 살피고 재활용 시장의 균형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폐플라스틱 원료 부족 해결 방안 정책토론회’가 13일 오전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폐플라스틱의 물리적, 화학적 재활용 인프라를 확대하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플라스틱 재활용 여건은 열악하다. 공공선별장의 71.4%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장비도 낙후돼 평균 선별률은 63%에 불과하다. 또 재활용률은 70%로 높지만 여전히 고형연료(SRF) 제조, 열회수 등 소각형 재활용이 절반 이상이다.
플라스틱 수요와 공급의 엇박자는 더 심해질 전망이다. 대기업이 ‘화학적 재활용’ 공장을 2026년부터 본격 가동하며 수요는 높아지지만, 환경부는 폐플라스틱 발생량을 2021년 492만 톤에서 2025년 393만 톤으로 20% 감축할 계획이어서다.
박찬용 환경부 폐자원에너지과 과장은 “한국은 플라스틱 수요와 폐기량이 지속 증가하지만,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은 열적 재활용에 편중돼 있다”면서 “물질‧화학적 재활용 인프라를 확충해 양질의 폐자원 공급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공공‧민간 선별장의 현대화를 지원하고, 폐비닐 재선별 시설을 확대하는 등 선별 효율을 제고하고, 열분해 산업 확대와 재활용 신기술 현장 적용으로 고부가가치 재활용으로 전환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김흥석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 재활용1본부장은 지난해 11월 체결한 ‘플라스틱 재활용업 대중소기업 상생협약’ 내용을 소개했다. 중소기업은 물리적 재활용, 대기업은 화학적 재활용으로 역할을 분담한다는 것이다.
그는 “대기업은 중소기업이 영위하는 생활계 배출 플라스틱 선별과 플라스틱 원료 재생업에 진입이나 확장을 자제하고, 화학적 재활용과 고품질 제품 제조에 집중하기로 했다”면서 “대기업이 굳이 영세기업이 하는 부분을 침범하지 않아도 필요 원료량을 확보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