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김성수 기자|ks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기사입력 2024-01-22 13:52:4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서울대학교 이태우 교수 연구팀이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발광 소재를 결합한 고효율 장수명 하이브리드 탠덤 발광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valley centre tandem(a) 및 h-Tandem valley(b) 의 개념도. 단일소자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다이오드 소자효율(외부양자효율, EQE) 동향 및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효율(c) 및 대면적, 유연 발광 소자 이미지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널리 알려진 페로브스카이트는 전기적 특성과 색 순도가 우수하고 저렴한 가격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기존 유기발광소자(OLED)보다 효율이 낮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해결 방안 중 하나로 서로 다른 특성의 소자를 결합하는 탠덤(Tandem)구조를 이용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용액공정으로 제작하는 페로브스카이트의 특성상 다른 소자와 적층하는 것이 매우 까다롭고, 단순히 적층하는 것만으로는 높은 색순도와 발광 효율을 갖도록 하는게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팀은 용액공정으로 하단의 페로브스카이트 나노 결정 단일소자를 제작한 뒤 증착공정으로 상단의 유기 발광 단일소자를 제작하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탠덤 구조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자 제작에 성공했다.

이는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으로 탠덤 발광소자를 제작한 세계 최초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효율·고색순도를 동시 구현하는 최적의 소자구조를 찾아 ‘하이브리드-탠덤 밸리(h-Tandem Valley)’로 명명했다.

새로운 하이브리드 탠덤 소자는 페로브스카이트 상단 유기 발광층의 빛이 모두 투과하도록 얇고(~30[nm]) 투명한 나노입자 발광체를 사용, 광추출 효율을 극대화했다.

페로브스카이트 단일소자의 구동 수명은 동일 휘도(100[nit]) 기준 1.8시간인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탠덤 소자의 구동 수명은 5천596시간이다. 이는 약 3천108배 향상한 시간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면적이 크고 유연한 발광 소자 제작에도 성공했다. 향후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소재 상용화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이태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서로 다른 발광 소자를 적층해 효율과 고색순도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소자를 구성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면서, 이를 기반으로 녹색뿐 아니라 청·적색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소자를 개발하여 풀컬러 하이브리드 탠덤 디스플레이 구현에 도전하겠다고 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 관련 정책과 동향을 전달하기 위해 여러분과 만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