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최근 대내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국내 소매유통시장이 내년 0.4%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6일 소매유통업체 300개를 대상으로 시행한 ‘2025년 유통산업 전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내년 소매시장은 올해 대비 0.4%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응답 업체의 66.3%는 내년 유통시장이 올해보다 부정적일 것으로 봤다. 이유로는 소비심리 위축(63.8%)을 가장 많이 꼽았고, 고물가 지속(47.7%), 고금리에 따른 가계부채 부담 증가(38.2%), 시장경쟁 심화(34.2%), 소득·임금 불안 순이었다.
업태별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온라인쇼핑이 2.6%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업체가 64.6%를 차지했다. 경쟁 심화에 따른 수익성 악화(78.7%), 비용 상승(63.8%), 차이나커머스의 국내 진출 확대(51.1%) 등을 들었다.
온라인쇼핑 외 업태는 모두 1% 미만의 성장률을 예상했다. 대형마트와 백화점은 각각 0.9%, 0.3% 성장을 예상했지만 편의점(-0.3%)과 슈퍼마켓(-0.7%)은 역성장을 전망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경기침체와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고 평가했다.
대한상의는 ‘미국의 우선주의와 관세 인상 등의 우려로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만큼, 우리 유통기업은 다양한 시나리오와 대응책을 미리 준비해 리스크에 대응해야 한다’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