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조달청이 2025년 비축사업계획을 확정하고, 비철금속 비축량 확대와 경제안보품목 추가 비축, 비축기지 운영체계 개선 등의 방안을 추진한다.
조달청은 21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비축자문위원회를 개최하고, 산업 필수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2025년 비축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회의에는 유관기관 및 산업·학계·연구기관·외교·금융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글로벌 공급망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2027년까지 비철금속 6종(알루미늄, 니켈, 구리, 아연, 주석, 납)의 비축 규모를 60일분으로 확대하는 계획이 수립됐으며, 2025년에는 이를 55일분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알루미늄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구리의 비축량을 우선적으로 늘릴 방침이다.
경제안보품목의 경우 요소 등 기존 4종의 비축량을 유지하는 한편, 2025년부터 복합비료 원료를 추가해 총 5종으로 확대한다. 조달청은 추가적인 경제안보품목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비축 운영 체계 개선도 추진된다. 현재 보유 중인 희소금속을 2028년까지 광해공단으로 이관하는 절차를 진행하며, 소형 비축기지 구조조정과 권역별 비축기지 구축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공급망 위기 발생 시 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위해 연간 공급계약을 비철금속 전반으로 확대하고, 경제안보품목의 타소비축 사업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타소비축은 조달청이 구매한 비축물자를 수요기업이 일정 비율 사용하고 보충하는 방식으로, 기업의 안정적인 운영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미·중 간 무역 긴장과 관세 이슈 등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비축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산업 필수 원자재의 비축 기능을 강화해 위기 발생 시 대응 시간을 확보하고, 평상시에는 기업의 생산 안정성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