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한반도의 안보지형과 정치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구상을 내놓았다. DMZ를 평화경제지대로 전환하고, 북한 원산항을 미 해군 전함의 건조기지로 개발하겠다는 방안을 포함해, 경주에서 열리는 APEC을 6자회담의 무대로 삼겠다는 외교 전략도 공개했다.
"말이 아닌 실천, 이념보다 실력"... 다탄두 미사일형 대통령 자처
이 지사는 1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인터넷신문협회 간담회에서 "국정원 20년, 국회 10년, 경북도정 7년의 경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을 실질적으로 개조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스스로를 "행정, 외교, 안보를 정밀 타격할 다탄두 미사일"로 비유하며, 말보다 실천을 내세우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말했다.
DMZ 공동개발, 원산항 미 해군기지화 구상
DMZ는 남북이 공동 개발하는 평화와 번영의 공간으로, 단순한 평화지대가 아닌 신경제지대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북한 원산항에 대해서는 미 해군 전함의 건조 및 수리기지로 탈바꿈시키는 방안을 언급하며, 대한민국 조선업의 경쟁력과 미국·북한 간 외교적 관계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PEC 정상회의, 6자회담의 새 장으로
오는 10~11월 경주에서 열릴 APEC 정상회의를 6자회담 성사의 계기로 삼겠다는 전략도 제시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을 경주로 오도록 설득한다면, 남북과 미·일·중·러 정상이 자연스럽게 모여 회담을 성사시킬 수 있다는 구상이다. 이는 노벨평화상 수상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외교 해법으로 제시됐다.
외교·안보 전략, "경제안보동맹+차세대 국방혁신"
한·미·일 경제안보 연합체 구성, 기술동맹, 공급망 외교, 인도·중동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새로운 외교 안보 질서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드론, 사이버, 우주 방위 등 차세대 전략기술 중심의 국방개혁도 핵심 과제로 추진할 뜻을 내비쳤다.
3년 임기, 분권형 개헌 추진... "제7공화국 열겠다"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고 개헌을 완수한 뒤 물러나겠다는 약속도 전했다. 1987년 체제는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다고 진단하며, 상·하 양원제 도입, 대선거구제, 중앙 권한의 지방 이양을 포함한 분권형 개헌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중앙정부는 전략과 기획, 지방정부는 집행과 실행을 맡는 이원적 운영 구조로의 전환이 핵심이다.

청년·지방 정책, "디지털 코리아 실현할 준비된 리더"
청년 정책과 지역 균형 발전에도 방점이 찍혔다. 메타버스 산업 육성, 반도체 선도기업 유치, 청년 인구 유입 정책 등 경북도에서 추진한 실적을 국가 단위로 확장하겠다고 했다. 정치가 신뢰를 잃은 지금, 청년에게는 공허한 담론보다 실질적 기회와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개혁과 경선 전략, "정당 아닌 국민이 주인되는 구조로"
정당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국민 중심 정치로의 전환도 약속했다. 국회의 실적 평가제, 선거제 개편 등을 통해 민심을 왜곡 없이 반영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최근 화제가 된 '비상장 성장주' 발언에 대해선 "정치도 국민의 투자로 완성되는 일"이라며, 실력과 성과로 평가받겠다고 말했다.
지방행정 경험, 국정으로 확장할 준비 마쳤다
경북도지사로서 메타버스, 반도체, 청년 정책 등에서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지방에서의 경험을 국가 운영으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을 전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행정이 바뀌면 국정도 바뀐다"며, 실천 중심의 리더십으로 대한민국의 새로운 설계를 완성하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