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일보]
지난해 8월 인천광역시 청라동에서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전기차 포비아(EV Phobia)’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하며 전기차 화재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됐다. 그러나 1년여가 지난 지금, 전기차가 점차 안전해지고 있다는 긍정적인 동향이 전해졌다.
‘EV 트렌드 코리아 2025(EV TREND KOREA 2025)’의 부대행사로 5일 열린 ‘미래모빌리티포럼 X EVuff@EVTrend’ 컨퍼런스에서 서울특별시 그린카충전사업팀 김인준 팀장이 연사로 나서, 서울시의 전기차 화재 대응 추진계획을 소개했다.
그는 “올해 초 이 부서를 담당하게 되면서 인천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진행 과정을 살펴보니, 전기차가 대중의 인식처럼 위험한가라는 의문이 들었다”라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소방청이 올해 초 발표한 자료를 보면 전기차 1만 대당 화재가 난 차량은 1.11대, 내연기관의 경우엔 1.56대였다”라며 “해외의 자료에서도 전반적으로 해가 갈수록 화재율이 낮아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동향을 살폈다.
김 팀장은 이어 서울시가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자동차·배터리·소방·충전기·공동주택·전기차주 분야별 전문가 18명을 통해 실시한 자문회의 결과를 공개했다.
이들은 충전율에 따른 출입제한보다 배터리의 이상을 사전에 인지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구형 전기차의 경우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설치해 상태를 감시하는 것이 화재예방에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BMS와 함께 화재 이중 안전장치인 ‘스마트제어 충전기’를 확대 보급해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충전을 제어할 필요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소방시설, 특히 스프링클러 개선도 필수적이라고 짚었다. 전기차 충전 구역만이 아닌 지하주차장 전체 구역에 대한 안전시설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화재 예방을 위해 배터리 이상 알림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인 ‘텔레메틱스’의 차주 가입을 유도한다. 보조금 지원 대상 승용 전기차 신규 구매자를 대상으로, 해당 시스템 가입 동의 시 보조금을 추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신규·노후 완속충전기 300여 기를 대상으로는 예산을 지원해 스마트제어 충전기로 교체하는 사업을 진행한다.
배터리 이상 알림 공동 관제시스템도 도입한다. 서울시청 공무차량 93대와 공동주택 전기차 10대 이상에 OBD 스캐너를 설치하고, 배터리를 모니터링하는 사업이다. 배터리 이상 시 차주·관리자에 즉시 알림이 전송되고, 위험 단계 시 차량 이동·점검과 소방서 연계 출동이 이뤄진다.
소방 분야에서는 피난약자시설 지원 및 자율진단 체계를 구축한다. 요양병원·노인요양시설· 장애인복지시설과 같은 피난약자시설의 지하주차장의 전기차 충전소 15개소에 화재감시 CCTV, 열화상 카메라, 질식소화덮개 등의 설치를 지원한다.
공동주택을 비롯한 지하주차장 전기차 충전구역에 대해선 안전등급을 자율진단 후 취약시설을 보완한다. 대한주택관리사협회에서 화재안전 컨설팅과 관계자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지하주차장 화재 대응 및 확산 방지 방안으로는 ▲지하주차장 전용주차구역 소방시설 개선 지원(공동주거시설, 공공시설 820개소 대상 55억 원 규모) ▲전기차 화재에 유용한 진압장비 확충(경형소방차, 접이식 소화수조 도입, 관통형 방사장치 확대 보급) ▲올해 하반기 충전소 소방시설 합동점검(1천 세대 이상 공동주택, 다중이용시설 대상)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EV 트렌드 코리아 2025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COEX) A홀에서 3일부터 5일까지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