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EC 2025] 그로와트, 주거·상업용 등 공간 제약 넘는 통합 에너지 전략 발표](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27/thumbs/thumb_520390_1750981100_7.jpg)
주거·상업·유틸리티 부문을 아우르는 통합형 에너지 솔루션이 태양광 산업의 핵심 흐름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그로와트(Growatt)는 ‘SNEC PV+ 2025’ 현장에서 공간 제약과 다양한 부하 조건에 대응할 수 있는 다채로운 제품군을 제시했다. 전시 제품은 소형 태양광 시스템부터 대규모 산업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EV 연계형 플랫폼까지 확장된다.
도시형 주거 환경 겨냥한 ‘NEXA 2000’ 발코니 시스템
사용자 접근성과 설치 유연성을 고려한 소형 시스템 ‘NEXA 2000’은 최대 2.6kW 입력을 처리하며, 모듈화된 배터리 구조로 공간 제약이 큰 도심형 주거 환경에 적합한 구성을 갖췄다.
주거용 라인업은 단상·삼상 인버터로 구분되며, 예비 전력 전환 기능과 부하 대응 기능을 통해 자가발전 환경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SPM·SPE 시리즈는 병렬 연결 확장성과 용량 유연성을 제공하며, SPF 오프그리드 인버터는 이중 출력 구조로 정전 시 대응력을 높였다. WIT 시리즈는 비대칭 부하와 과부하 대응이 가능한 삼상 하이브리드 구조로, 주거 및 소규모 상업 시설에 적합하다.
제품 전반은 자체 플랫폼인 ShinePhone, ShineServer, OSS 등과 연동돼 실시간 상태 확인과 원격 진단 기능을 함께 운용할 수 있다.
![[SNEC 2025] 그로와트, 주거·상업용 등 공간 제약 넘는 통합 에너지 전략 발표](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20/thumbs/thumb_520390_1750383325_95.jpg)
C&I 부문 고출력 인버터 구성… MPPT 다채널 및 디젤 연동 기능
상업 및 산업용(C&I) 분야에서는 WIT 30-100K-HU 시리즈, MAX 100-150KTL3-X2 LV 제품 등이 소개됐다. 전자는 디젤 발전기 연동, 블랙스타트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부하 조건에 적응하도록 설계됐다. 후자는 최대 10개의 MPPT 채널, 광범위 전압 입력, 고전류 설계를 통해 대규모 프로젝트에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일부 모델에는 아크 감지, 무퓨즈 회로 구성, PID 회복 등 안정성과 유지 효율을 고려한 기능이 포함됐다. 설치 환경의 복잡성에 따라 구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EPC 및 통합 사업자 대상 유연성도 확보했다.
ESS·EV 통합 플랫폼 공개… 에너지 소비 구조 변화 대응
이번 전시회에서는 유틸리티급 제품 외에도 태양광, 에너지 저장, 전기차 충전 기능을 통합한 ESS+EV 기반 솔루션이 함께 소개됐다. 자가 발전한 전력을 차량 충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돼, 에너지 자립 구조로의 전환을 제안하고 있다.
![[SNEC 2025] 그로와트, 주거·상업용 등 공간 제약 넘는 통합 에너지 전략 발표](http://pimg3.daara.co.kr/kidd/photo/2025/06/20/thumbs/thumb_520390_1750383307_51.jpg)
“한국 포함 아시아 시장 맞춤 전략 병행”
Lisa Zhang 부총괄 매니저는 “다양한 시장 상황과 고객 요구에 맞춘 모듈형 제품 전략을 통해 각 지역에 최적화된 에너지 시스템을 공급할 계획”이라며 “한국과 아시아 시장에 대한 현지화 및 서비스 지원도 함께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그로와트는 전 세계 180개국 이상에서 설치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SNEC 참가를 통해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와 차세대 에너지 플랫폼 비전을 공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