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의 최전방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아온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은 지난 정권 들어 관련 예산이 대폭 삭감돼 우려를 산 바 있다. 그러나, 현 정부가 새롭게 출범하면서 스마트공장과 관련한 지원이 다시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업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제조산업 육성법 제정 추진에 나선 더불어민주당 허성무 의원은 7일 국회에서 ‘민생경제와 혁신성장포럼-스마트공장 혁신 사례 공유 : 대중소 상생형 지원사업을 중심으로‘를 개최했다.
허 의원은 인사말에서 “예전에는 중국산 제품을 볼 때 ‘가격 대비 성능이 좋다’는 의미로 ‘가성비’라는 말을 사용했다면 최근에는 ‘가격도 좋고 성능도 좋다’는 뜻으로 사용된다”고 말한 뒤 “스마트공장과 AI의 융합으로 우리 제조업을 지속하고 중국과의 제조 경쟁에서 패권을 차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전 세계의 선진국들은 과거에 제국을 경영했던 나라들이지만, 우리나라는 제조업을 통해 그동안 전 세계 경영에 참여해 왔다”고 말한 뒤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경제 패권을 당당하게 가져올 수 있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의 전혜숙 스마트산업실장은 ‘대기업-중소기업 상생형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이라는 주제의 발표를 통해 현재 중기중앙회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과 향후 계획에 대해 소개했다.
전 실장은 “2018년부터 중기중앙회가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1천952억 원을 지원함으로써 3천78개의 스마트공장이 구축됐다”며 “참여 중소기업의 93.6%가 만족감을 표했으며, 매출은 19.8%, 고용은 10.5%가 각각 늘어났다”고 언급했다.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중소기업은 전체의 19%에 불과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한 전 실장은 “지원 예산의 복원을 통해 기초 수준의 지원을 지속하는 동시에 ‘AI트랙’을 신설해 ‘AI고도화’ 수준의 지원을 확대해 ‘중소기업 AI전환 지원을 통한 제조강국 실현’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주관 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벤처부)역시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에 더욱 힘을 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기벤처부 권순재 지역기업정책관은 스마트공장 보급과 관련해 지금까지 진행된 사례들을 소개한 뒤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49개 대기업과 공기업이 참여해 6천 곳에 달하는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며 “이를 통해 중소기업의 공정과 경영이 개선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향후 정책방향에 대해 권 정책관은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을 확대해 ‘AI제조혁신을 추지하는 동시에 스마트제조혁신 생태계를 고도화 시킬 것”이라며 “특히 대중소 상생형 AI트랙을 통해 국내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디지털전환 촉진을 위해 민관 협업을 통해 ‘AI기반 스마트공장’의 구축을 지원할 것”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