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제조현장의 자동화 효율을 관리하는 SCADA 시스템은 제조현장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에 발맞춰 함께 고도화되고 있다. 그러나, SCADA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기업이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8월 27일부터 29일까지 베트남 빈증무역센터에서 코엑스와 스마트제조혁신단의 공동 주최로 열린 ‘제2회 베트남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이하 AW 베트남)’에 자이솜은 자체 개발한 SCADA 시스템을 이용해 높은 가격 경쟁력과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앞세워 베트남 시장 공략에 나섰다.
이번 전시회에서 자이솜이 선보인 ‘X-SCADA AI’는 당사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자체 개발을 진행한 SCADA 시스템임과 동시에, 독자적인 AI 기술을 접목하여, 데이터 수집과 제어를 넘어 예측 및 최적화 기능을 강화한 차세대 솔루션이다.
빅데이터의 수집을 돕는 X-DAS솔루션은 산업 현장의 다양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분석, 시각화하여 생산성과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며, 위의 솔루션들은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팜, 스마트 워터 그리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자이솜 관계자는 “‘내재화된 기술력과 사용자 중심의 접근’이 우리의 차별화된 강점”이라며 “현재 베트남 시장에서는 주로 외산 SCADA 솔루션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우리는 합리적 인 가격 제시를 넘어 유지보수의 용이함까지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자이솜이 강조하는 또 다른 장점은 ‘사용자 편의성 확대’이다. 직관적인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해 비전문가도 손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PLC, IoT센서, 설비 등 어떠한 공정, 설비를 갖추고 있더라도 범용적 활용이 가능하다.
자이솜 관계자는 “베트남 제조 환경은 현재 급속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스마트 자동화에 대한 니즈가 점차 커져가고 있지만 기존 외산 솔루션들이 가진 높은 도입 비용, 복잡한 유지보수, 그리고 현지 환경에 대한 맞춤형 지원의 부재 또는 한계가 현지 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이자 과제”라며 “기술력, 가격 경쟁력, 유지보수의 용이성,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까지 모두 갖춘 솔루션이야말로 자이솜이 베트남 시장의 '틈새'를 공략하고,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 수 있는 핵심 강점”이라고 강조했다.
자이솜은 이번 전시회 참가를 통해 기술력과 브랜드 인지도를 알리는 동시에 현지 기업과의 협업 기회를 모색하고, 수출 확대의 교두보를 마련하고자 한다.
“향후 2~3년 내 글로벌 시장에서의 가장 구체적인 성장 목표는 ‘베트남 시장을 포함한 APAC Market 내 확고한 수출 통로 확보와 시장 저변 확대’로 베트남을 교두보 삼아 동남아시아 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고자 한다”고 말한 자이솜 관계자는 “궁극적으로는 AI 기반 스마트 자동화 솔루션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 기업으로 성장해, 전 세계 산업 현장의 디지털 전환과 효율성 증진에 기여하는 것이 우리의 비전”이라고 각오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