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 간 소득 격차가 나이가 들수록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대-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완화를 통한 내일채움공제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분석 결과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월평균 소득 비중이 50대 초반까지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감소해 소득격차가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20∼29세 근로자는 대기업 근로자의 65.2% 수준의 월평균 소득이 있었으나, 40∼44세는 절반 이하인 49.4%로 떨어졌다. 50∼54세는 42.4%까지 줄었다가, 55~59세 구간에서는 43.5%로 소폭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소득 격차의 주된 이유는 중소기업 임금 소득 정체 현상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소기업 연령별 월평균 소득을 20대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35~39세는 47.1%, 50~54세는 52.0% 증가했다. 30대부터 50대 초반까지 10년 이상 근무해도 소득이 크게 오르지 않은 것이다. 반면 대기업은 같은 기간 소득 상승률이 35~39세 78.9%, 50~54세 133.6%로 차이가 뚜렷했다.
이는 중소기업이 인력 확보를 위해 대기업의 약 65% 수준으로 초봉을 제시하지만 이후 임금 인상 폭이 대기업에 크게 못 미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근속 1년 이상 근로자가 핵심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중기연은 임금 격차 해소 방안으로 내일채움공제 제도의 확대를 제안했다. 내일채움공제는 근로자의 장기 재직을 유도하기 위해 기업과 근로자가 함께 공제금을 적립하는 제도로, 올해 7월 말 기준 4만 1천552개 기업, 11만 9천374명이 가입했다.
노민선 중기연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특히 경기 침체 상황에서 소득 격차 심화로 핵심 인력이 대기업으로 빠져나갈 우려가 크다'며, 인공지능(AI)·연구개발(R&D) 등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한 공제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대·중소기업 간 소득 격차를 줄이고, 기업은 인재 유출을 막고 장기 근속을 유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