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10월 취업자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제조·건설은 감소
김대은 기자|kde125@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10월 취업자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제조·건설은 감소

데이터처, 10월 고용동향 발표…고용률 0.3p 늘었으나 청년층은 1%p 하락

기사입력 2025-11-12 11:22:4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10월 취업자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제조·건설은 감소
국가데이터처 공미숙 사회통계국장

[산업일보]
지난달 취업자는 2천904만 명으로 증가세가 지속됐으나,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감소가 이어지며 증가폭은 축소됐다.

국가데이터처(구 통계청)는 12일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10월 고용동향’을 발표했다.

발표를 진행한 공미숙 사회통계국장의 설명에 따르면, OECD 비교기준 15~64세 고용률은 70.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p 상승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1%p 하락한 44.6%로 조사됐다.

취업자는 19만 3천 명 늘어난 2천904만 명이었고, 실업률은 0.1%p 하락한 2.2%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33만 4천 명, 30대에서 8만 명 증가했으나 20대(-15만 3천명), 40대(-3만 8천 명), 50대(-1만 9천 명)에서 각각 줄었다.
10월 취업자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제조·건설은 감소
AI로 생성한 이미지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28만 명, 9.2%)’,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만 명, 13.9%)’, ‘도매 및 소매업(4만 6천 명, 1.5%)’ 등에서 지난해보다 상승했다.

반면, ‘농림어업(-12만 4천 명, -7.8%)’, ‘건설업(-12만 3천 명, -6%)’, ‘제조업(-5만 1천 명, -1.2%)’에서는 감소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28만 6천 명)와 임시근로자(7만 9천 명)는 늘었으나, 일용근로자는 5만 5천 명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3만 8천 명 상승했다. 육아(-6만 3천 명, -8.7%)와 연로(-4만 1천 명, -1.6%) 사유 인구는 감소했지만, ‘쉬었음’ 인구는 13만 5천 명(5.5%)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36만 6천 명으로 2만 1천 명 늘어났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64.8%로 지난해보다 0.1%p 올랐고,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5시간으로 0.4시간 감소했다.
10월 취업자 늘었지만 증가폭은 둔화…제조·건설은 감소
자료=국가데이터처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