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체험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양자광학 양자컴퓨팅 기술'의 광기반 양자프로세스를 시연 중이다.
[산업일보]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과기연)이 양자광학 양자컴퓨팅 기술을 통해 양자컴퓨터의 실용화 가능성을 검증했다.
과기연 양자정보연구단은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4일 개막한 '퀀텀코리아 2025'에서 "연구팀은 기본 벌크 기반 양자 프로세서를 리튬 나이오베이트 기반의 양자광원 및 연산 유닛으로 집적화하는 데 성공했다"며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과기연 관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시스템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동시에 안정성, 확장성, 재현성, 연산 속도 등 주요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고전 컴퓨팅 자원에 양자광학 시스템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를 기반으로 VQE(변분 양자 고유값 해법)와 고전-양자 피드백 루프 기술을 개발했다"라며 "현재의 제한적인 양자 하드웨어로도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용적 계산 프레임워크와 잠재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양자 소재/소자 연구 성과가 전시된 모습.
이외에도 전시 현장에서는 양자 소재/소자, 바이오마커 진단용 양자자기센서 시스템 등의 연구 성과를 살펴볼 수 있으며, 서울 홍릉 양자클러스터(가칭) 지원 사업과 양자기술활용연구 거점 사업단 '퀀텀 플랫폼'에 대한 소개 공간도 마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