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AI가 빠르게 산업계를 넘어 일상생활의 주류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AI를 활용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이 화두가 되면서 전력 공급의 문제는 이제 전 세계의 공통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AI를 활용할 수 있는 전력 공급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AI가 전력산업을 위해서 할 수 있는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에너지전환포럼 석광훈 전문위원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새정부 에너지정책 제안 긴급토론회’의 발제자로 나서 국내 전력계통의 문제를 지적하는 동시에 AI를 활용한 극복 방안을 제시했다.
‘탄소중립 경로에서 원전의 제약요인과 단계적 폐지 필요성’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석 위원은 수도권의 전력문제에 대해 “송전제약이 아닌 시스템제약”이라고 전제하면서 “수도권 과밀로 신규 대형 전력수요 수용능력이 한계에 도달했음을 의미하고, 신규 산업전력수요 분산이 유일한 해결대안”이라고 언급했다.
석 전문위원의 발표 내용 중 눈길을 끈 대목은, AI와 관련된 것으로, AI의 확산으로 인해 늘어나는 전력소비량을 AI를 통해 관리해야 한다는 역발상의 내용이 담겼다.
“해외는 전문화(Domain-specific) AI를 전력망 운영에 적극 활용하고 있으나, 국내 전력업계는 전력산업에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비전자체가 부재한 상황”이라고 지적한 그는 “‘스마트그리드 사업’ 후 한전의 독점장벽에 전력 IT업종은 오히려 쇠퇴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석 전문위원은 “주류를 이루는 주장은 전력이 AI를 위해 할 일을 찾아야 한다고 하지만, 현실은 AI가 전력산업을 위해 일을 해야 한다”며 “머신러닝을 통해 정교한 재생에너지‧전력수요 예측과 함께 혁신요금제, 배전망 최적화 등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덧붙여 그는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전력계통에서 재생에너지 최적입지 예측, 신속한 계통연계를 이뤄내거나 센서와 머신러닝으로 송전선의 정교한 실용량 예측·전력망 최적화시키는 AI가 나오고 있다”며 “이들은 LLM이 아닌 신뢰성이 높은 전문분야별 AI로 구분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