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무인 자동차 관련 특허기술 어디까지?
천주희 기자|cjh2952@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무인 자동차 관련 특허기술 어디까지?

기사입력 2013-07-04 00:05:3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공상 과학 영화 속에서만 가능할 것 같았던 무인 자동차가 최근 관련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차츰 그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례로, 인터넷 검색엔진으로 유명한 미국 G사가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해 미국 특허를 획득했으며 미국 네바다주 등에서는 실제 도로를 주행할 수 있는 허가도 받았다.

국내·외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기술을 개발해 왔는데 이는 주로 무인 자율주행의 기초 기술과 안전 운행을 보조하는 기술 개발에 주력해 온 것으로 오토 크루즈 컨트롤 시스템, 차선 이탈 경고 장치(LDWS)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연구범위를 확대해 완전한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김영민)에 의하면,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의 특허출원은 2007년까지는 한 해 2~10건 정도로 그 양이 미미했으나 2008년 23건, 2012년 32건이 출원되는 등 2008년 이후로 그 출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지난 10년간 특허출원을 출원인별로 보면 현대기아차가 15%를 차지해 특허기술 선점을 위한 연구개발이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어 ㈜만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KAIST 등이 뒤를 이었다.

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사람의 눈에 해당하는 주변 상황 파악용 영상 센서(예: 카메라) 기술이 약 24%를 차지해 가장 많고 두뇌에 해당해 최적 경로를 선정하는 인공지능 기술(약 18%), 다리에 해당하는 차량 운전 제어(약 11%) 분야에서의 출원이 활발하다.

이외에도 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차의 특성상 지도정보, GPS의 활용, 도로 시설물이나 타 차량과의 통신 등의 분야에서도 기술개발이 진행되면서 일부 출원되고 있다.

이렇게 무인 자율주행 자동차기술은 전통적인 자동차 기술에 정보통신 기술(ICT)이 융·복합되는 점에서 창조경제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첨단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 5위 자동차 생산국이고 정보통신 기술 강국인 만큼, 자동차와 정보통신 기술을 효과적으로 융합시키면 무인 자율주행 분야에서 조만간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보이고 특허출원도 차량의 안전성 및 편의성 향상에 대한 운전자들의 요구에 부응해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천주희 기자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일대 뉴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좋은 정보를 가지고 여러분 곁에 다가서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