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신입사원 가장 부족한 능력 ‘업무의 전문성’
천주희 기자|cjh2952@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신입사원 가장 부족한 능력 ‘업무의 전문성’

기사입력 2014-09-10 19:35:16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기업들이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입사 합격 여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항목은 무엇일까?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포트폴리오 SNS 웰던투가 기업 채용담당자 5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서류전형 시 입사합격 여부를 가장 많이 좌우하는 항목으로(*복수선택) 지원자의 경력사항이 응답률 57.8%로 1위에 꼽혔다.

다음으로 △자기소개서 27.7% △전공 26.0% △학력 25.8% △자격증 22.8% △어학점수 15.4% △출신학교 14.9% △포트폴리오 12.8% △학점 11.7% 등의 순이었다.

또한 면접 시 채용 당락을 가장 많이 좌우하는 평가 항목으로도 역시 △입사지원자의 실무능력 경험이 응답률 48.3%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지원자의 인성도 41.6%로 비교적 높았다. 이 외에 △지원자의 첫인상 36.5% △전공 15.2% △학력 12.7% 등의 순이었다.

특히 신입사원 채용 시 서류전형과 면접 심사 비율에 대한 질문에는 △서류전형 50% - 면접 50%를 반영한다는 응답이 27.5%로 높았으며, 다음으로 △서류전형 30% - 면접 70%를 반영하고 있다는 응답도 22.5%로 많았다. 이 외에 △서류전형 40% - 면접 60%(16.9%) △서류전형 20% - 면접 80%(10.8%) △서류전형 10% - 면접 90%(9.0%) 등의 순으로 면접의 비중이 더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들 기업들이 평가하는 현재 근무하고 있는 신입사원 능력 만족도에 대해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은 39.5%로 10개 사 중 4개사 정도였으며, 나머지는 △그저 그렇다 46.1% △불만족한다 14.4% 등의 순이었다.

또한 신입사원들에게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업무 능력 1위로는 △업무의 전문성을 꼽은 비율이 35.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 능력 25.5% △정신력 14.4% △외국어 능력 11.1% △국어능력 6.6% 등의 순이었다.

최창호 잡코리아 사업본부장은 “최근 기업들이 신입사원 채용 시에도 직무 중심으로 업무에 대한 전문성 및 경험을 평가하는 경향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면서 “대학생들은 취업 전 미리 자신의 직무 분야를 명확히 설정하고 실무 중심의 경험을 쌓아 포트폴리오를 준비해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천주희 기자입니다. 서울과 수도권 일대 뉴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좋은 정보를 가지고 여러분 곁에 다가서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