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국의 귀국유학생 창업단지가 중국판 ‘창조경제’ 메카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회장 한덕수) 북경지부가 작성한 <중국 귀국유학생 창업단지 운영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중국의 귀국유학생 창업단지는 총 280개로 집계됐다.
1994년에 중국 정부의 주도 하에 난징에서 1호가 설립된 유학생 단지는 2008년까지는 100여개에 불과했지만 최근 3년 동안 130개가 늘어날 정도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2012년 기준)로는 상하이를 포함한 화동지역에 132개가, 베이징이 위치한 화북지역에 53개가 각각 분포돼, 이들 대도시와 그 주변에 집중(전체의 78%)돼 있음을 보여주었다.
창업단지에 신규 입주하는 귀국유학생 기업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학생 단지에 설립된 기업 수는 2012년 말 현재 총 1.3만 개로 전년 대비 18.2% 증가했다. 특히 2012년 한 해에만 2,000개의 기업이 신규 입주했을 정도로 급증하는 추세다. 더불어 유학생 단지에서 재직 중인 유학생 수도 매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유학생 단지에 재직 중인 유학생 수는 총 2.6만 명인데 통상 인큐베이팅 기간이 3년 정도임을 감안할 때 누계로는 이 보다 3∼5배정도 많아 1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유학생 창업단지 활성화는 ‘나가면 돌아오지 않는다’는 중국 학생의 유학공식을 바꿔놓고 있어 우수인재의 유치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해외유학을 나갔던 중국 학생들의 귀국 비율이 2004년의 21.6%에 머물렀지만 지난해에는 85.4%로 뛰어 오르는데 유학생 단지가 적지 않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창업단지는 해외에서 학사 이상 학위를 받은 학생이 특허, 연구 성과, 전문기술 등을 이용해 귀국 후 창업한 기업이 입주하는 곳으로, 유학생이 대표를 맡거나 전체 투자금의 30% 이상을 투입한 기업을 요건으로 한다. 이들 유학생에게는정착(거주)→기업설립→비즈니스(마케팅)→자금조달 등 포괄적인 지원이 뒷받침된다. 특히 법인세는 일반기업(25%)보다 10%포인트 낮은 15%만 부담하고, 연구개발 비용은 실제 투입액의 150%로 확대 계산해 세금 공제를 더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또한 엔타이 소재 유학단지의 경우 유능한 과학인재에 대해 100㎡이상의 사무실과 같은 규모의 집을 제공하고, 이들에 대한 임대료는 3년간 면제하고 있을 정도로 파격적으로 지원하는 사례도 있다.
유학생 단지는 해외 고급인재와 첨단산업의 메카로 자리 잡고 있어 중국경제의 질적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유학단지의 업종은 IT, 바이오의약, 첨단제조업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창업단지 당 309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물론 뉴욕거래소 및 나스닥 등에 50개사가 이미 상당됐다. 상장기업 중 암보우(Ambow)사는 세계적인 IT교육기관으로 부상하면서 2007년과 2008년에 각각 5천 4백만 달러와 1억 3백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후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됐다. 아이소프트스톤(iSoftStone)사는 1만5천 명의 종업원을 보유할 정도로 중국의 대표적 시스템통합(SI) 업체로 부상했다.
무협 최용민 북경지부장은 “중국의 유학생 창업단지는 최근 정부관리형에서 완전 민영방식으로 운영체제를 혁신하면서 다시 한번 도약을 꿈꾸고 있다”면서 “한국도 창조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는 유학생의 귀국을 유인해 창업도 활성화하고 일자리도 늘리는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