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올해 2분기 전 산업 노동생산성 2.7% 상승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올해 2분기 전 산업 노동생산성 2.7% 상승

산업부, 노동생산성지수 동향 발표

기사입력 2014-10-02 11:20:3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회장 진홍)는 올해 2/4분기 전(全)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102.6(2010=100)으로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해 상승세를 지속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2/4분기 소비와 수출증가율이 1/4분기 대비 다소 둔화된 가운데 설비투자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全산업 생산은 소폭 증가한 반면, 근로시간 감축의 영향으로 노동투입은 감소했다.

제조업(0.2%), 서비스업(1.4%), 건설업(0.1%) 등 주요부문 생산증가의 영향으로 전(全)산업 생산이 전년동기대비 0.9% 증가했다.

근로자수는 전년동기대비 0.7% 늘어난 반면, 근로시간은 2.5% 줄어서 전 산업의 노동투입량은 1.8% 감소했다.

제조업, 서비스업은 생산증가와 노동투입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1.1%, 3.6%의 생산성증가를 시현한 반면, 건설업은 노동투입이 생산증가를 소폭 웃돌면서 생산성이 0.5% 하락했다.

한편, 올 2/4분기 전(全)산업의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지수는 108.7(2010=100)로 전년동기대비 5.6% 증가하면서 비교적 높은 생산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분기 전(全)산업의 산출(실질부가가치)은 전년동기대비 3.7%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전년동기대비 0.7%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각각 5.3%, 3.1%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全산업의 실질부가가치 성장을 이끌었다.

산업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은 전년동기대비 제조업이 6.3%, 서비스업이 5.3% 증가해 全산업 부가가치 노동생산성 향상을 주도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