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 확대
강정수 기자|news@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 확대

기사입력 2013-07-17 00:08:54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와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용 배터리 세계시장 선점을 위해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LG화학 배터리 생산공장(충북 오창)을 방문, 생산설비를 확인하고 효율적인 전력수요관리와 전력시스템 효율화를 위한 ESS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ESS는 전력수급 안정화,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확산의 핵심기술로, 피크시 지능형 수요관리 자원으로 사용하고 정전시에는 비상전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네비건트 리서치에 따르면 전세계 ESS 시장은 2013년 16조원에서 2020년 58조원 규모로 연평균 53%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이러한 ESS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전력이용 효율화와 ESS 산업육성 차원에서 ESS 활용촉진을 추진하고 있는 점도 성장세를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우리나라도 전력수급 문제해결과 스마트한 전력수요관리를 위해 에너지관리시스템(EMS)과 연계해 ESS 보급촉진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대두되고 있다.

윤 장관은 이날 현장에서 개최된 간담회에서 앞으로 에너지절약을 시스템화하고 실시간 지능형 전력 수요관리를 구현하는 것을 정책목표로 삼고, ESS 보급확산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이어 전력수요분산과 전력시스템 효율화를 위해 대규모 발전사업자에게 공급전력의 일정비율만큼 ESS 설치를 의무화하고, 전력다소비 수용가의 경우 ESS 활용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피크요금제 강화 등 전기요금 제도개선, 보조금 등 인센티브 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업부는 IT와 ESS를 활용한 에너지수요관리 패러다임 전환 종합대책을 마련중에 있으며, 금명간 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반갑습니다. 산업2부 강정수 기자입니다. 자동차와 부품, 전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빠른 속보로 여러분들을 찾아뵙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