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7월 자동차 생산은 일부 업체 주말특근 미실시 및 부분파업 등으로 전년동월비 6.1% 감소한 334,139대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월 자동차 산업 실적을 잠정 집계한 결과 내수(140,642대)는 전년동월비 5.8% 증가한 반면, 생산(334,139대), 수출(223,482대)은 6.1%, 7.3% 각각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현대(152,556대)는 지난해 7월 부분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 기저효과로 전년동월비 5.1% 증가한 반면, 기아(123,893대)는 일부 공장 주말특근 미실시(광주, 소하리) 등으로 4.8% 감소했다.
한국지엠(34,848대)은 부분파업 및 수출 부진으로 39.8%, 르노삼성(10,353대)은 수출부진 등으로 13.4% 각각 감소한 반면, 쌍용(11,607대)은 판매호조를 바탕으로 지난 5월 재개된 주야 2교대제로 생산물량이 확대되면서 20.9% 증가했다.
전반적인 경기부진에도 불구하고 신차효과(맥스크루즈, 카렌스, 트랙스, 코란도 투리스모 등) 및 가격할인 등 마케팅 강화 등으로 전년동월비 2.9% 증가한 125,689대로 올 최대판매를 달성했다.
현대(59,302대)는 SUV 호조에도 불구, 중대형트럭 공급부족으로 1.1% 감소한 반면, 기아(41,500대)는 6월말 출시한 K5 부분변경모델과 카니발, K7 호조로 올들어 최대 판매실적을 보이며 3.0% 증가했다.
한국지엠(13,304대)은 ’14년형 스파크, 올란도 및 캡티바 호조로, 르노삼성(5,089대)은 다운사이징 모델인 SM5 TCE 인기 등으로 각각 올해 최대실적 기록하며 10.8%, 1.7% 증가, 쌍용(5,768대)도 코란도 패밀리 브랜드의 호조로 38.5% 올라 최대 실적을 나타냈다.
7월 수입차 판매는 다양한 신차를 앞세운 독일 브랜드 차종의 강세 등으로 인해 전년동월비 38.9%가 증가한 14,953대 월간 판매 사상 최대치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