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산업일보] 국내 바이오산업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지속적인 증가세로 돌아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바이오협회가 실시한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결과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산업부에 따르면 2012년 바이오산업 생산규모는 총 7조 1,292억원으로 2011년(6조 3,963억원) 대비 11.5% 증가했으며, 지난 5년간(2008년~2012년) 약 1.5배 수준으로 껑충 뛰었다.
연평균 증가율(2008년~2012년)도 12.1%로 제조업 7.7%, 전자산업 9.7%에 비해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오산업 분야별 생산규모는 바이오식품(40.3%)과 바이오의약(38.1%)이 전체의 78.4%를 차지한 가운데 생산 증가율로는 바이오화학(17.4%), 바이오식품(10.6%)이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바이오산업 수출규모는 2012년 3조 606억원으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연평균 12.6% 증가, 같은 기간 연평균 수입 증가율 8.2%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바이오산업 내수규모 역시 2012년 5조 6,434억원으로 2011년(5조 2,081억원) 대비 8.4% 증가했으며, 2008년(3조 7,551억원) 대비 50.3% 성장했다.
바이오산업 기업투자는 2012년 1조 5,455억원으로 2011년(1조 2,907억원) 대비 19.7% 증가했다.
바이오산업 분야별 투자규모는 바이오의약의 비중(74.1%) 및 증가율(26.7%)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산업 2012년 종사인력은 연구(11,284명), 생산(11,924명)과 영업/관리(14,570명) 인력을 포함해 37,778명으로 ‘11년(35,718명) 대비 5.8% 늘었다.
연구․생산인력의 경우 박사(7.0%), 석사(25.9%), 학사(31.1%)로 고학력자 비중(64.0%)이 높은 분포를 보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바이오산업 성장 추세에 대응해, 향후에도 기술개발․인력양성․해외진출 등 기업 수요에 적합한 정책지원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뒤 지난해 기준 바이오산업 실태조사를 올 하반기에 추가 발표해 바이오산업통계활용의 적시성을 높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