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혈관성 치매 새로운 기전 규명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혈관성 치매 새로운 기전 규명

Nox1이 만드는 활성산소가 DNA 산화 등을 통한 신경세포사멸 유도

기사입력 2014-03-09 11:49:3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혈관성 치매 새로운 기전 규명
좌측부터 이종민, 최동희 교수



[산업일보]
국내 연구진이 혈관성 치매를 일으키는 또다른 원인 단백질을 찾아냈다. 이 단백질이 뇌에서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해마에 존재하는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함으로써 혈관성 치매를 유도하는 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향후 이 단백질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식의 혈관성 치매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이종민, 최동희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활성산소와 치매 같은 퇴행성 신경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대뇌허혈과의 연관성은 알려져 있었지만 해마의 신경세포가 활성산소에 특별히 취약한 이유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상태였다.

연구팀은 NADPH산화효소1이 만들어내는 활성산소가 지방 및 DNA의 산화를 통해 해마의 신경세포사멸을 유도함을 밝혀냈다.

향후 Nox1의 활성을 억제하는 방식의 혈관성 치매의 예방과 치료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혈류가 통하지 않는 양측 경동맥 폐색 유발 랫트 모델에서 NOX1 발현량과 활성이 높아졌고 NOX1이 활성화된 경우 수중 미로에서 도피대를 찾는데 20초가 더 오래 걸렸다.

과산화물을 만드는 NOX1이 해마의 신경세포 사멸을 유도해 학습과 기억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이다.

반면 혈관성 치매 동물에 NOX 억제제 처리시 이러한 해마 신경세포 사멸이나 인지기능 손상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해마 신경세포에서 리보핵산 간섭을 통해 NOX1 발현을 억제한 경우 DNA 산화, 신경세포 사멸 및 인지기능의 손상이 완화됐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 “혈관성 치매에서 해마 신경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NOX1에 의한 발병기전을 규명했으므로 이를 토대로 NOX 1 억제제 개발 및 유전자 치료에의 응용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