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석유제품 무선통신기기 수출 확대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석유제품 무선통신기기 수출 확대

중소기업 위주 업종 수출 증가

기사입력 2014-04-21 13:25:09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석유제품 무선통신기기 수출 확대
국가별 수출 증가율


[산업일보]
올해 1분기 대(對)EU 수출은 135.3억달러로, 1분기 기준 수출금액이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EU 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FTA 효과가 가시화됨에 따라 대 EU 수출이 14분기에 두 자릿수 증가율(16.3%)을 기록했다.

21일 산업부에 따르면 FTA 수혜품목인 석유제품(171.9%), 무선통신기기(33.6%), 자동차(2.8%)를 중심으로 우리 수출이 확대됐고 조명기기(19.0%), 고무제품(17.9%), 플라스틱제품(13.2%) 등 중소기업 위주 업종의 수출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품목의 수출호조로 수출증가율(16.3%)이 수입증가율(8.6%)을 상회하면서 대EU 무역수지 적자폭이 30.1% 감소한 수치를 보였다.

이란 제재에 따른 원유 수입선 전환(이란→영국), 자동차(57.0%) 수입 증가로 대EU 수입도 증가했다.

대신흥국(F5) 수출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신흥국 금융경색에도 불구하고 수출증가세를 이어갔다.

1분기 대 취약신흥국(F5) 수출은 109.2억달러로 5.0% 증가했다.

취약 신흥국은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5개 신흥국(터키, 브라질, 인도, 인도네시아, 남아공)이다.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취약 신흥국 금융경색에도 불구하고 우리 수출증가율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터키는 FTA 효과, 브라질은 무선통신기기·반도체 등 IT제품 수출호조로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인도(IT 및 석유제품 호조) 및 인도네시아(선박수출 증가)로의 수출도 최근 들어 증가세로 전환됐다.

다만, 대 남아공 수출은 자동차 수출(△23.6%) 급감으로 부진한 모습이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