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국 내수시장 진출은 중국기업의 성장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최근 중국의 환경규제, 소비시장의 성숙 등을 감안할 때, 고부가가치 제품(기술집약적 분야), 에너지 절약 및 환경친화적 품목(ESS 등)을 중심으로 적극 진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수출 동향 점검회의 개최 시 업계가 내놓은 의견이다. 이에 산업부는 민관 합동 중국시장 진출대책을 추진할 계획에 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업계관계자들은 국내 외환시장에서 원화 환율의 안정을 위해 국내기업의 외화표시 채무를 국내에서 원화로 대출받아 상환할 필요가 있다고 건의했고, 산업부는 민간기업 차원에서도 적극 검토해 줄 것과 산하 공기업(한전·가스공사·석유공사 등)을 대상으로 가능성을 검토키로 했다.
또한 대중 의료기기 수출시 인증획득을 위해 많은 비용(모델당 1억원)과 시간이 소요(2~3년)되는데, 기업이 우수한 현지 컨설팅 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는 건의와 관련, 정부도 KOTRA를 통해 중국 현지 우수 컨설팅 기업을 발굴, 적극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중소수출기업의 환헤지를 위해 환변동보험 수요가 크므로 무역보험공사의 환변동보험 상품에 대한 중소기업 가입한도를 대폭 상향 지원해달라는 요구에는 업체당 인수한도 확대, 보험료 등 환변동보험 개선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中 기업 성장, 중국 내수시장 진출 대책 마련
기사입력 2014-05-15 09:3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