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엔지니어링 인재양성 시스템 출범
우리나라 대표 12개 대학, 15개 기업 참여
우리나라 플랜트산업은 지난 2010년부터 연속 600억불 이상을 수주하고 올해 사상 최초로 700억불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지만, 기획·설계 역량 부족으로 부가가치의 상당부분은 해외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기획·설계 역량은 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통한 경험과 노하우 축적이 필수적이지만, 우리나라 공학교육은 경험지식을 갖춘 교수진과 교과목 부족, 논문 중심의 교육으로 한계를 보였다는 것.
이에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와 서울대학교(총장 오연천)는 11일 서울대에서 '엔지니어링개발연구센터(이하 EDRC)' 개소식을 갖고 산학프로젝트를 기반으로 고급설계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EDRC는 엔지니어링 기업과 공과대학이 함께 참여해 프로젝트 수행 중심의 전문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시스템으로,
주관 대학인 서울대를 비롯해 고려대, 연세대, 포항공대, KAIST, FAU-Busan 등 12개 대학(교수 27명, 대학원생 200명 이상)과, 삼성엔지니어링, GS건설, SK이노베이션, LG화학,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15개 대표 기업이 참여했다.
EDRC는 ▲프로젝트 수행능력을 갖춘 엔지니어링 인재양성, ▲산업계가 적극 참여하는 프로젝트 수행과 공학커리큘럼 설계, ▲세계적 수준의 한국형 엔지니어링 산학협력 허브 구축을 3대 목표로 하고 있다.
학생들은 EDRC 프로젝트 수행 후 성과발표를 통해 실력을 검증받고 EDRC가 정하는 엔지니어링 핵심 교과목을 우수한 성적으로 이수할 경우 EDRC인증서를 획득, 인증서를 받은 우수학생은 AMEC 등 해외 우수 엔지니어링기업과 국내기업에 인턴쉽 참여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EDRC는 매년 산업계가 제기하는 수요를 중심으로 20여개의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발굴․수행하고 그 결과를 교육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참여대학 등에 온, 오프라인으로 제공, 해외우수교육기관을 벤치마킹해 엔지니어링핵심커리큘럼을 개발하고 이를 전파해 과도한 논문중심 공학 교육을 경험중심교육으로 유도하고 기업 재직자도 세계적 수준의 교육기회를 부여하기로 했다
프로젝트 수행결과와 노하우, 인재 등에 대한 종합적인 DB를 구축하고 산업계의 구체적 수요가 대학에 상시 전달되도록 정부, 연구소, 대학, 기업 간 협력 네트워킹의 구심점 역할을 도모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 김재홍 차관은 축사를 통해 전국의 공과대학과 산업계가 참여하는 EDRC가 경험지식을 갖춘 우수인재를 배출하고 기업의 기술역량을 높여주길 당부했다.
또한 이를 통해 기존 논문중심 공학교육이 프로젝트 중심의 문제해결형 교육으로 전환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오연천 총장은 EDRC를 영국의 CPSE, 미국의 TEES등 글로벌 엔지니어링 연구센터를 넘어서는 세계적 수준의 엔지니어링 전문기관으로 성장시켜 나가겠다는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