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 개소
이강은 기자|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 개소

나노물질 안전성 대응 체계 구축·국제 인증 체계 확립

기사입력 2014-07-23 04:26:0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 개소


[산업일보]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에서 나노물질 안전성 대응 체계 구축과 국제 인증 체계 확립을 위한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센터장 송남웅)를 개소했다고 밝혔다.

나노물질이란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물질로 미세한 크기로 인해 체내흡수가 빠르고 항균 효과가 강하다는 특징이 있어 식약품, 화장품, 구강청정제, 세탁기 등 다양한 제품 제작에 활용된다.

이처럼 나노물질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나노물질 안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도 증대돼 나노물질의 안전성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위한 표준 측정기술 개발이 어느 때보다 중요시 되고 있다.

그동안 나노물질 안전성 연구 및 국제협력의 중시됨에도 불구하고, 기존 국내 나노안전 연구는 저마다 다른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특성 및 독성 분석 결과의 일관성이 결여돼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미래부는 나노물질 안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신규과제 공모를 통해 국가측정표준연구기관인 KRISS에'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를 국내 최초로 지정했다.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는 나노 물질의 특성·제조부터 생체 내 독성물질 검출까지 나노물질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표준 측정 기술개발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다.

센터는 또한 나노안전성 표준의 신속한 국제화를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날 개소식에는 미래부 이근재 연구개발정책관, KRISS의 강대임 원장 등 약 30여명의 주요인사가 참석했으며,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의 업무계획 발표 및 현판식 등으로 구성 됐다.

이근재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관은“나노물질이 미래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기대되는 반면 위해성에 대한 막연한 우려가 사회적으로 전파되고 있는 만큼 나노기술의 책임 있는 개발과 공신력 있는 나노안전 기준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 해줄 것”을 당부했다.

송남웅 나노안전성 기술지원센터장은 “앞으로 일관되고 신뢰성 있는 나노특성 연구를 통해 국가 나노안전관리를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