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中 희토류 수출가격 크게 하락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中 희토류 수출가격 크게 하락

2013년 대비 반토막, 경기침체에 수출관세 및 쿼터폐지 영향

기사입력 2015-09-15 10:00:48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中 희토류 수출가격 크게 하락


[산업일보]
첨단제품 필수소재로 국제교역에서 주목 받고 있는 희토류에 대한 중국의 수출가격이 급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 북경지부가 내놓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동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은 물량 기준으로는 증가, 금액으로는 감소하고 있다.

올해 1∼7월 중 희토류 수출물량은 1만7천500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10.3% 증가했다. 특히 7월 수출량은 3천658톤으로 지난해 같은 달(1천799톤)보다 2배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중국의 희토류 주요 생산지인 네이멍구(內蒙古) 지역은 올해 상반기에 2천664톤을 수출해 전년 동기 대비 36.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중국의 희토류 수출액은 2억1천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대비 7.4% 감소했다.

최근 중국의 희토류 수출액 감소의 원인은 수출단가의 하락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3년도에 희토류 가격이 톤당 2억5만6천 달러에 달했으나 올해 1~7월 중에는 1만2천 달러로 하락해 2년 사이에 반 토막이 난 상황이다.

전 세계 희토류 매장량은 9천900만 톤으로 추정되는데 이중 중국내 매장량이 3천600만 톤에 달해 그 비중이 36%에 달한다. 중국의 2014년도 희토류 생산량은 8만7천 톤으로 전 세계 공급량의 90%를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수출가격이 하락한 것은 중국이 그동안 통상마찰에도 불구하고 운용해온 수출규제(관세와 수출물량 제한)를 폐지한데다 전 세계 경기침체로 희토류 가수요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내 희토류 업체 간 경쟁이 심화된 것도 가격하락의 또 다른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중국 내에는 90여개 희토류 업체가 존재하는데 그들 간에 경쟁이 심화돼 공급자 시장에서 수요자 시장으로 전환된 것이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희토류 수출가격 유지를 위해 구조조정을 통한 대형화에 나서고 있어 새로운 통상마찰의 불씨를 안고 있다. 지난해에 중국의 공업신식화부는 ‘대형 희토류기업그룹 조직개편사업지도’를 통해 올해 말까지 전국의 모든 희토류관련 광산 및 제련 업체를 6개로 통폐합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업체가 통합되면 수출가격에 대한 경쟁구도가 무너지고 정부의 직접통제도 보다 용이해 질 우려가 있어 보인다.

무역협회 최용민 북경지부장은 “희토류가 친환경 분야를 위주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어 향후에도 수요량은 크게 줄지 않을 전망인데다 중국이 인위적으로 업체를 대형화한다면 사실상 수출통제와 비슷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통상차원에서 중국내 희토류 생산 및 수출채널 통폐합에 대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인위적인 가격과 물량의 조절여부를 파악하는 한편 우리 기업들도 IT분야 등 첨단제품에 대한 대외경쟁력 유지를 위해 중국 희토 업체와 원만한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선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