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플리즈마 활용해 금속촉매 수명 연장한다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플리즈마 활용해 금속촉매 수명 연장한다

기계연 이대훈 박사 “금속촉매, 낮은 온도에서 빠른 환원 가능해져”

기사입력 2016-03-14 11:20:33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플리즈마 활용해 금속촉매 수명 연장한다
한국기계연구원 플라즈마연구실 이대훈 박사


[산업일보]
플라즈마-촉매 융합 반응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이 제시돼 화제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원장 임용택, 이하 기계연) 플라즈마연구실의 이대훈 박사팀이 플라즈마-촉매 반응 과정에서 금속 촉매의 환원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기술적 방법을 발견한 것. 이를 통해 금속촉매의 구조변화를 막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대훈 박사팀은 산화된 금속 촉매를 환원할 때 플라즈마를 활용하면 일반적인 열 환원 반응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빨리 환원되는 현상과 원리를 규명했다. 이 연구 성과는 세계적인 권위를 지닌 학술지 ‘CHAMCATCHEM Vol.8, Issue 4’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대부분의 화학공정은 원하는 물질을 선택적으로 반응 생성물로 만들어 내는 촉매 반응에 기반 한다. 이 때 사용되는 금속 촉매는 반복 사용에 따라 산화되며 촉매로서의 기능을 잃는다. 촉매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열 환원 반응을 활용하는데, 이는 고온의 환원기체를 공급해 금속산화물에서 금속상태로 환원을 시키는 방법이다. 이 때 고온이 촉매의 구조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환원된 촉매의 성능은 충전식 배터리와 유사하게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결국은 촉매를 교체해야 한다.

이대훈 박사, 조선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금속촉매를 환원할 때 플라즈마를 활용하면 열 환원 반응 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욱 빠르게 환원시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원기체인 수소기체에 플라즈마를 가하면 기체가 방전돼 화학적으로 반응하기 쉬운 H 라디칼로 변한다. 기존 열 환원 반응에서는 수소 분자가 금속 촉매에 흡착된 후 이미 흡착돼 있는 산소와 결합하고 탈착되는 과정을 통해 환원되지만 H 라디칼은 금속 촉매에 흡착하지 않고 산소와 직접 결합해 OH 라디칼을 형성한 후 바로 금속 촉매에서 탈착됨으로써 환원 속도가 훨씬 빠르다.

논문 공동 제1저자 겸 책임저자인 이대훈 박사는 “플라즈마-촉매 융합 반응을 통해 산화된 금속촉매를 보다 낮은 온도에서 빠르게 환원시킴으로써 금속 촉매의 구조변화를 막을 수 있고 결과적으로 촉매 교체시기를 지연하는 것이 가능해 질 것”이라며, “이번에 밝혀진 새로운 환원 원리를 적용하여 화학 산업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플리즈마 활용해 금속촉매 수명 연장한다
이대훈 박사의 연구결과가 CHEMCATCHEM 표지 논문에 실렸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