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IoT 디바이스와 네트워크·플랫폼 기술의 진화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IoT 디바이스와 네트워크·플랫폼 기술의 진화

미래 특허분쟁 대응전략 시나리오②

기사입력 2016-04-12 10:31:31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전 세계 IoT 시장규모는 2013년 200조 원에서 2022년에는 1,22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 발행된 Mckinsey의 보고서는 IoT 시장의 성장가치를 더욱 긍정적으로 보아 IoT 시장규모가 2025년에는 연 3조 900억 달러 내지 11조 달러(1경 4300조)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20년에는 IoT에 의해 상호 연결된 사물이 260억개에 이를 전망이며, 2013년 보다 10배 증가한 수치다.

IoT 디바이스와 네트워크·플랫폼 기술의 진화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관련해 미래사회의 이슈로 초 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가 등장했다.

사물인터넷은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하는 모든 물리적 객체들과 사람, 그리고 사람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연결시키고 상호 자동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구성해, 수집된 정보를 공유 및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 월드 또는 초 연결사회를 구현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Network Infrastructure)를 통칭하는 용어다. 시장조사 전문업체인 IDC(Internet Data Center)가 G20 국가들을 상대로 실시한 IoT 준비지수 조사에서 한국은 미국에 이어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해내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기존 유선 및 모바일 기반의 인터넷보다 진화된 단계의 기술로, 컴퓨터 내부의 프로세서나 서버 데이터까지 모든 사물에 연결하는 만물인터넷(IoE, Internet of Everything)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경제성장세가 점차 악화되고 있는 선진국과 경제 성장이 진행 중인 개발도상국의 경제성장률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견인할 수 있는 핵심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이루는 생태계는 기본적으로 디바이스(Device), 플랫폼(Platform), 네트워크(Network) 및 서비스(Service, (응용분야, Application))로 구성되며, 빅 데이터(Big Data), 클라우드(Cloud) 및 보안(Security) 역시 최근 이슈 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사물인터넷'과 관련된 기술을 'IoT' 기술이라 표현한다.

IoT 디바이스 기술발전현황은 기존에 존재하던 사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는 단순한 기능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융합형 서비스(어플리케이션)를 제공하기 위한 개방형 단말기술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IoT 네트워크 기술발전현황은 모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트래픽이 급증하는 현상이 예상됨에 따라 SW를 기반으로 트래픽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기술이 개발 진행 중에 있으며, 통신환경이 열악한 산간·오지 등으로 인터넷 연결이 확대됨에 따라 효과적으로 수 많은 디바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저 전력(배터리 수명 10년 이상)/장거리(10Km 이상) 비 면허 대역 통신기술 개발이 한창이다.

IoT 플랫폼 기술발전현황은 단일 사업자별 폐쇄형 서비스 플랫폼 구조에서 글로벌 의미검색과 등록을 지원하기 위한 개방형 의미기반 협업 플랫폼 구조 및 표준 플랫폼 구조로로의 변화를 맞고 있다. 개방형 API 기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 세계 IoT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해 사용자와 사물 간 정보 공유를 통해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IoT 보안 기술발전현황은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공유되는 사물 및 데이터에 대한 안전한 활용 및 유출방지와 사용자 장치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보안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IoT 서비스 기술발전현황은 과거 별도의 단말을 이용하는 폐쇄적 이용환경에서 스마트폰 등과 같이 보급이 많이 진행된 단말을 기초로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개발・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로 변화하고 있으며, 사전에 정해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보다는 IoT 디바이스와 사용자 관점의 실시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복수의 IoT 서비스가 조합, 활용돼 사용자의
테스크(task)와 니즈(needs)를 지원하는 형태로 발전할 전망이다. [자료협조 한국지식재산보호협회]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