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중국 임금이 무섭게 치고 올라오고 있다. 최근들어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의 인상률보다 크게 앞서면서 중국 최저임금 수준이 한국의 60%수준까지 추격했다. 중국 내 기업들도 로봇 투입을 심각하게 고민할 정도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내 최저임금(시간급, 월급 기준 2종류)은 지역별로 금액과 인상시기가 다를 뿐, 중국 근로자에 대한 각종 복지비용이 한국보다 높고 다양하기 때문에 생산성을 감안하지 않은 직·간접 고용비용은 한국 근로자의 70%를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중국이상하이, 장쑤, 광둥, 충칭, 랴오닝, 하이난 등 6개 지역에 대한 최저임금을 발표한 자료를 보면 4월1일 현재 장쑤, 충칭 등 2개 지역은 지난해 인상을 동결했던만큼 이번에는 2년 만에 최저임금액을 인상했다. 랴오닝은 2013년부터 동일한 임금을 적용했다가 올들어 인상을 단행했다. 광둥성은 지난해부터 내년까지 3년간 최저임금을 1천895 위안으로 동 결한 상태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에 따르면 그동안 경제발전 정도가 낮은 소수지역(랴오닝과 헤이룽장성 등)에 서 최저임금을 3년간 동결한 사례는 있지만 중국경제를 상징하는 광둥성에서의 3년 동결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과 한국 간 최저임금액 격차가 좁혀지자 중국에 투자한 우리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이 현안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3년 일본을 제치고 전 세계 로봇 판매량이 가장 많은 국가로 부상하면서 중국에서도 생산현장에 로봇을 도입하자는 의견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지난해 중국내 공업용(생산 현장용) 로봇 판매량이 7.5만대(전년대비 36.6% 증가)에 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20년과 2025년에는 그 판매량이 각각 15만대와 26만대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무협 북경지부 최용민 지부장은 “중국에서 임금은 직급이 상승함에 따라 급속히 높아지고 이직도 심하다(평균 근속기간 34개월)는 점을 감안해 연수와 한국과의 교차근무 등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중국 현지 직원에게 임금과 성과를 연동시키는 급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 근로자들에게 회사의 발전과 비전을 제시하고, 성 과급을 도입, 우수 직원을 우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