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 해석 성공
홍보영 기자|papersong@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 해석 성공

자체 프로그램제작, 공정 성능 예측 가능해져

기사입력 2016-05-18 11:17:40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 해석 성공

[산업일보]
파라자일렌 제조공정 중 파라자일렌과 기타 자일렌은 끓는점이 유사해 일반적인 증류로는 분리가 어려워 결정화 또는 흡착 특성의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데, 제조비용의 이점 때문에 최근에는 주로 흡착의 방법을 이용한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을 이용하고 있다.

이 공정의 해석에 대해 학계에서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산업계에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파라자일렌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공정개선 활동에 한계가 있어 왔고 지속적으로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 해석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었다.

한화토탈(주) 이진석 부장은 5년여 간의 실험 및 실증을 거쳐서 해석이 난해한 파라자일렌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의 해석에 성공했으며 흡착분리 조업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기존 공정의 생산성을 5% 이상 향상시켰다.

개발 초기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화학공정모사 프로그램의 경우 열역학을 이용해 수학적으로 모델화하고 이를 컴퓨터 하드웨어를 이용해 정제공정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묘사하는 하는 과정에서 프로그램 하자로 인해 유효한 결과를 얻지 못하자 결국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해 공정 성능 예측에 성공했다.

또한 새로운 공법을 도입하기 전 시험적으로 건설하는 소규모 설비인 파일럿 플랜트 실험에서 흡착분리 공정의 조건을 재현하지 못해 고생했으나 흡착제의 대기 접촉을 원천봉쇄하는 장치를 고안·적용해 해결했다.

결국 이진석 부장은 5년 간 실험실 단위의 실험환경 조성, 화학공정모사 프로그램 개발, 파일럿 플랜트에서의 실증화 등을 통해서 유사 이동층 흡착분리 공정 해석에 성공했고 이를 통해 파라자일렌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켜 국내 석유화학 산업에서의 신성장 동력 창출 및 국가 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

이진석 부장은“고부가가치 제품을 상업화해 석유화학 제품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유지하는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회장 박용현)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5월 수상자로 한화토탈㈜ 이진석 부장을 선정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1부 홍보영 기자입니다. 국내외 무역과 로봇, IoT, 기계·금형산업에 대한 참 소리를 전합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