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전기차 공용완속충전기 시설 확대, PHEV 차량에도 긍정적 효과
김민솔 기자|mski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전기차 공용완속충전기 시설 확대, PHEV 차량에도 긍정적 효과

공용완속충전기, 주민센터·복지회관·공원 등 복지시설에 구축 확대할 예정

기사입력 2017-08-18 15:25:18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전기차 수요 곡선은 나날이 상승세를 그리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전기차 등록대수는 1만5천869대로 지난해 대비 46.2% 상승했다. 그러나 전기차 충전시설은 3천114대가 구축돼 있어 전기차에 비해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는 ‘전기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 지침’을 개정해 공용완속충전기 설치를 18일부터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전기차용 공공충전기는 차량 이동중의 충전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단시간(30분) 에 완충되는 급속충전기 위주였다. 이는 주로 고속도로 휴게소, 공공기관 주차장 등에 구축돼왔다.

그러나 전기차 소유주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비교적 안정적이며, 급속충전용 전기요금의 절반 가격인 완속충전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완속충전기는 주로 아파트, 주택 등에 설치돼있으나, 환경부는 앞으로 면사무소, 주민센터, 복지회관, 공원 등 복지시설에도 다양하게 설치해 충전여건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한, 완속충전기 확대는 준전기차로 평가받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PHEV: Plug-in Hybrid Vehicle)’에게도 희소식이다. 배터리 용량과 비용 문제 등으로 급속충전기 사용이 어려웠던 PHEV차량은 완속충전기 설치로 공공 충전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환경부는 완속충전기뿐아니라 급속충전기 설치확대도 함께 추진한다. 7월 국회에서 급속충전기 546기의 설치 예산이 추가적으로 반영돼 올해 총 1천76기의 급속충전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전기차 충전요건은 작년 대비 40% 이상 개선될 전망이다.

이형섭 환경부 청정대기기획과장은 “급속 및 완속충전기 확대 설치로 전기차 뿐만 아니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의 충전여건도 대폭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산업2부 김민솔 기자입니다.정부 정책 및 3D 프린터, IT, 산업현장 숨어있는 특화된 뉴스를 전해드리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