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지난해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상용 기술, 해수담수화 운영비 절감 기술 등 약 20여 가지의 국토교통기술을 개발해 우수한 사업성과를 거뒀다. 이러한 실적에 정부는 올해 국토부 연구개발(R&D) 예산을 전년대비 6.8% 확대해 5천58억 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숭실대 한경직기념관에서 열린 ‘2018년 정부 R&D 사업 부처 합동설명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번 설명회는 9개 부처 위주로 진행됐으며, 일정 마지막 날에는 국토부를 비롯해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의 R&D 사업이 소개됐다.
국토부는 이날 ▲국토교통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국토교통기술사업화지원사업 시행에 대해 발표했다.
먼저, 국토부 관계자는 “국토부의 R&D 예산이 처음으로 5천억 원을 넘었다”며, “타 부처들에 비해서 증액률이 높은 편”이라고 강조했다. 국토부는 올해 확대된 예산(5천58억 원)으로 국토·교통·기반구축 분야 등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23개 R&D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4차 산업혁명 기술개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서비스산업 육성, 국내 중소기업 해외시장 진출에 무게감을 두고 진행한다고 전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 박정훈 실장은 “올해를 기점으로 국가전략프로젝트인 스마트시티 R&D사업이 본격 추진된다”며 약 43억 원의 연구비를 활용해 서비스 중심형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모델 및 기반기술 개발에 들어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국토부는 국가적 사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지원 사업에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포항 지진을 계기로 지진 피해를 감축할 있는 건축 설계 기준을 변경할 예정이며, 미세먼지 절감 효과가 있는 건축 재료를 개발할 계획이다. 이같은 사회 이슈 해결 사업에 23억 원의 예산이 투자되며, 추후 발생하는 사건이 있을 경우 추가한다.
아울러 KAIA 김홍중 실장은 국내 중소기업 육성사업을 강조했다. “이른바 ‘죽음의 계곡’이라 불리는 사업화 초기단계에 놓인 국토교통분야 중소기업들이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기술사업화 자금을 지원해 강소기업으로 육성시키겠다고 말했다.
공공기술 중소기업, 중소기업 보유기술, 국토교통 안전기술, 서비스 R&D 융합기술 사업화 등 총 4개 내역사업에 248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4개 내역사업 모두 최대 4년, 최대 30억까지 지원 가능하다.
김홍중 실장은 “최대한 많은 중소기업에게 기회를 주고자 기존에 지원을 받고 있는 기업을 배제하는 등 중복 지원을 피할 수 있도록 제약사항을 두고 있다”며, “10년 동안 3천억 원의 성과가 나온 만큼 올해도 국내 중소기업 성장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