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정부가 소재부품 중소·중견기업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기술개발 전범위에서 신뢰성 향상 및 융복합 부품·소재개발을 지원 사업을 대폭 확대·개편함에 따라 신뢰성바우처의 관리와 기업의 바우처 활용 편의성이 대폭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 2000년부터 구축한 신뢰성·소재센터 인프라의 기업 활용도를 확대하기 위해 2017년도 시범사업에 이어, 올해 본격적인 기업 지원을 위해 전년(85억 원) 대비 2배 이상 지원규모(190억 원)를 확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제4차 소재·부품발전기본계획(2017~2021)’ 이행을 위해 2017년도에 도입한 '신뢰성바우처'사업의 서비스 체계를 기업 활용성이 대폭 확대되도록 개편·공고했다.
또한, 기존 소재개발과 신뢰성향상에 국한된 세부 지원항목을 실증연구와 수출지원까지 포함한 소재·부품 기술개발 전범위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수출형 소재·부품 기업의 해외 인증 및 신산업 분야의 실증연구 수요가 충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15개 소재·신뢰성센터 중심의 지원체계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시험장비·시설·인력을 보유한 15개 기관을 추가해 개방형 지원체계로 전환한 것이다.
정부는 지원 서비스 사각지대 해소와 기업의 접근성을 확대하는 한편, 참여기관간 경쟁체제 구축을 통한 지원 서비스 품질 개선을 사용자 중심으로 재편했다고 밝혔다. 기업 수요의 최대한 반영과 지원 효과성의 제고를 위해 지원한도를 대폭 상향․현실화하고, 신청서류와 평가 절차를 간소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