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일보]
주요 대기업 근로자들은 능력․직무,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되길 희망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한 ‘2018년 주요 대기업 임금체계 현황’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근로자 39만8천915명 중 51.2%가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오르는 호봉급을 적용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업무 수행 능력에 따라 직능급을 받는 근로자는 36.2%, 직무 성격 및 난이도에 따른 직무급을 받는 근로자는 4.4%로 조사됐다.
직종별 기본급 유형으로는 사무직과 연구직의 직능급이 각각 61.2%, 54%로 가장 많았으며,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는 호봉급이 각각 84.7%,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근로자 중 26.9%는 평사원급에서 관리자급으로 승진하면 임금체계를 달리 적용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사원급은 모두 호봉제를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자급은 주로 직능급을 적용받는다고 응답했다.
이에 대해 한경연 관계자는 “기업들이 평사원급에는 호봉제를 적용하지만 권한과 책임이 큰 관리자급에는 직능급 등을 적용해 능력과 성과에 대해 보상하고 생산성을 높이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대기업 170개 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9개 사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호봉급에 따른 가장 큰 문제점으로 장기근속자 고용 유지 부담(42.9%)을 꼽았으며, 근로자의 성과 관리 어려움(36.1%),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 어려움(11.8%)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 호봉급 체제를 유지하는 이유로는 기존 관행상(39,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 등을 들었다. 호봉급의 가장 큰 장점으로 꼽히는 근로자의 장기 근속 유도는 10.1%에 그쳤다.
주요 대기업의 50.6%는 호봉급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성과가 달라도 보상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가 발생’하는 것을 꼽았다. 이에 따라 58.8%가 ‘성과 중심의 보상체계 확대’돼야 한다며, 임금 체계 관련 중점 추진 사항으로 응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대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사무직과 연구직에서는 직무급(각각 54.1%)을,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은 직능급(각각 39.4%, 42.4%)의 임금체계가 추진돼야 한다고 선택했다. 반면 호봉급은 현재 대기업 근로자 중 절반 이상 적용받고 있지만, 모든 직종에서 가장 적게 선호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주요 기업 관계자들은 정부의 임금체계 관련 중점 추진 사항으로는 ‘공공부문 임금체계의 선도적 개편(34.1%)’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경연 관계자 역시 호봉제 체계를 직무급 중심으로 바꾸는 내용이 포함된 ‘공공부문 표준임금 모델안’을 언급하며 “기업들이 정부의 선도적 역할에 대한 기대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해외 유수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지금의 호봉급 체계를 능력과 직무,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해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면서, “정부의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에서 핵심과제로 포함한 직무․능력 중심의 임금체계가 조속히 추진돼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