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진화하는 광군제 10년 트렌드, O2O’, ‘생체인증 결제’
김우겸 기자|kyeom@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진화하는 광군제 10년 트렌드, O2O’, ‘생체인증 결제’

신소비층·글로벌·스마트…지우링허우, 메이드 인 글로벌

기사입력 2018-11-28 13:26:5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진화하는 광군제 10년 트렌드, O2O’, ‘생체인증 결제’

[산업일보]
매년 11월11일 열리는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Black Friday)인 광군제는 중국 최고의 온라인 쇼핑 행사다. ‘솽스이쇼핑광환절’이라는 이름으로도 많이 알려진 중국 광군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이 2009년 광군제
를 맞아 자회사인 타오바오몰(淘宝商城)을 통해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하면서 중국 최대 쇼핑일로 탈바꿈했다.

사상 처음으로 매출 2천억 위안을 넘긴 올해 중국 광군제의 주요 트렌드는 ‘지우링허우(1990년 이후 출생자)’, ‘메이드 인 글로벌’, ‘온·오프라인 결합(O2O)’, ‘생체인증 결제’ 등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 지부가 27일 발표한 ‘중국 광군제 10년의 트렌드 변화’에 따르면, 올해 10주년을 맞은 광군제는 사상 처음으로 주문량 10억건, 매출액 2천억 위안을 초과했다.

지난 2009년 알리바바가 처음으로 행사를 할 때만 해도 광군제 매출은 5천만 위안에 불과했지만 10년이 지난 올해는 천4270배 증가한 2천135억 위안으로 급증했다. 참가 브랜드도 첫 해의 27개에서 18만개로 늘어났다.

최근 광군제 행사는 소비계층, 품목, 유통방식 등 다방면에서 변하고 있다. 광군제 주요 소비층의 절반은 즉흥성, 가성비, 모바일 세대로 대변되는 지우링허우다. 소비품목도 과거에는 중국 로컬제품에 국한됐으나 올해는 75개국에서 1만9천개 브랜드가 참여했다.

이번 행사에서 중국 소비자의 인기를 끈 5대 수입상품은 화장품, 영유아용품, 건강식품, 의류, 디지털 가전제품이었다. 해외직구 국가별로는 한국이 일본과 미국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실적을 올렸다.

유통 및 결제 서비스 변화도 눈에 띤다. 기존 광군제는 주로 온라인 판매행사에 모바일 인증 결제를 활용했으나 최근에는 20만개의 티몰 스마트 매장, 100개의 허마셴셩(盒马鲜生) 등 오프라인 백화점 및 유통매장이 온라인과 연결해 참여하고 있다. 결제방식도 전체의 60.3%가 모바일 지문 및 안면인식 기술 등 생체인증 방식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협 김병유 베이징 지부장은 “구매욕구가 강한 신세대 소비계층 등장과 모바일 및 결제 기술 진화, 유통방식 글로벌화 등에 힘입어 중국 광군제는 앞으로 더욱 성장할 것”이라며 “한국 기업도 현지 기업과 협력하거나 차별화된 아이디어와 디자인을 탑재한 제품으로 중국 소비자들을 공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제산업부 김우겸 기자입니다. 산업인들을 위한 글로벌 산업 트렌드와 현안 이슈에 대해 정확하면서도 신속히 보도하겠습니다.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