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유해게시물신고
1억 명 중국 청소년,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소비 강해
이겨라 기자|hj1216@kidd.co.kr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1억 명 중국 청소년,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소비 강해

추상적인 서비스보다 유형의 상품 선호

기사입력 2018-12-23 15:10:17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블로그 프린트 PDF 다운로드
[산업일보]
2016년 기준 중국의 '▲▲허우(2000년 이후 출생자)' 인구는 2.8억 명이다. 이중 0~11세의 아동 인구를 제외한 12~18세의 청소년 인구는 약 1억 명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의 연구기관 텐센트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2월 기준 ▲▲허우 세대의 평균 통장잔고는 1천840위안(약 30만 원)으로 90허우 세대보다 오히려 3배 가까이 많았다. 성인에 비하면 적은 액수일지언정 독립적인 의사결정에 따른 소비행위를 할 물질적 기반을 갖춘 것이다.

1억 명 중국 청소년, 온라인보다 오프라인 소비 강해

1억 명에 달하는 중국 청소년 소비시장을 공략하려면 오프라인 시장에 주력해야 할 전망이다.

한국무역협회 청두지부가 21일 발표한 ‘중국 청소년 소비시장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중국 인구의 약 20%가 ▲▲허우 세대다.

중국 경제가 성장하면서 ▲▲허우 세대의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넉넉하게 돈을 쓰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리서치가 12~18세 중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0%가 보호자로부터 정기적으로 용돈을 받으며 월 평균 액수는 370위안이었다.

이들의 81.7%는 온라인보다 오프라인에서 상품을 구매하고 추상적인 서비스보다 유형의 상품을 선호했다.

오프라인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은 ‘학습용 도서를 포함한 학용품’(82.8%), ‘간식 및 음료’(71.2%), ‘옷과 액세서리’(30.0%) 등이었다. 온라인 소비와 관련, ‘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36.4%로 가장 높았고, 온라인 소비를 하는 청소년도 용돈의 30% 미만만 지출했다.

이 보고서는 “중국 청소년들은 부모의 간섭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소비를 선호해 온라인으로 구입한 제품이 부모와 함께 사는 집으로 배송되기보다 즉각적이고 독립적인 효용을 누릴 수 있는 오프라인 소비를 즐긴다”고 분석했다.

청두지부 이원석 과장은 “중국 청소년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으로 소비하는 간식류나 학용품 같은 품목을 중심으로 친근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품등록 무료 제품 거래 비용 없음!
국제산업부 이겨라 기자입니다. 전자, 기계, 포장산업 등 중화권 소식과 전시회 소식을 발빠르게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0 / 1000
주제와 무관한 악의적인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0 / 1000






산업전시회 일정




다아라 기계장터 제품등록 무료